[앵커]<br />16호 태풍이 일본에 상륙한 뒤 소멸하면서 올해 우리나라에는 단 하나의 태풍도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되면 지난 2013년 이후 4년째 태풍이 없었던 해가 됩니다.<br /><br />그 원인과 여파를 정혜윤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16호 태풍 말라카스는 일본을 강타한 뒤 소멸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는 먼 남해에만 태풍특보가 내려졌지만, 내륙에는 별 영향이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북쪽에서 차가운 공기가 내려와 한반도를 뒤덮으면서 태풍이 우리나라로 북상하지 못하고 중국이나 일본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지난여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 강하게 확장하면서 태풍이 중국과 일본으로만 이동했습니다.<br /><br />기상청은 앞으로도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강남영 /국가태풍센터 팀장 : (태풍이) 며칠 뒤 또 하나 생길 가능성 있는데, 진로가 불확실하지만 아무리 올라와도 우리나라 찬 공기 벽을 넘어설 수는 없지 않을까…]<br /><br />이렇게 되면 올해도 태풍이 없는 해가 됩니다.<br /><br />지난 2012년, 7월부터 9월까지 무려 4개의 태풍이 내륙에 상륙했지만, 2013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내륙에 상륙한 태풍이 없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수확기 태풍 피해가 없는 건 다행이지만, 강수량이 줄어들어 극심한 가뭄이 유발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.<br /><br />올해 기록적인 봄 가뭄도 마른장마와 태풍 부재가 원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[반기성 /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(태풍이 올라오지 않으면) 수확기에 곡식이나 과실 등의 재산 피해가 적어진다는 좋은 점이 있지만 나쁜 점은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이 생겨 내년 봄에 가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]<br /><br />또 태풍은 적조를 해소하거나 바다 생태계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어 그 부작용도 우려됩니다.<br /><br />YTN 정혜윤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6092118560356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