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하원이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아태 지역의 핵전력 강화를 촉구한 국방수권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.<br /><br />미 의회에서는 대통령의 핵무기 사용 권한을 제한하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 상하원이 합의한 내년도 국방수권법안이 하원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안보 정책을 총괄적으로 다룬 법안인데, 국방예산 규모가 7천억 달러, 800조 원에 육박합니다.<br /><br />법안은 북한의 핵미사일을 미국 안보의 최대 위협으로 규정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핵미사일 발사 잠수함을 아태지역에 재배치하는 등 핵전력 강화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재래식 무기는 물론 핵폭탄도 탑재할 수 있는 전략폭격기의 배치와 훈련 계획도 포함 시켰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국방수권법 제정 뒤 90일 내에 대북 전략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<br /><br />하원에 이어 상원도 조만간 국방수권법안 표결에 들어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미 상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무기 사용 권한 제한을 검토하는 청문회를 열었습니다.<br /><br />[크리스 머피 / 美 상원의원 : 트럼프 대통령이 핵무기 공격을 명령한다면 미국 국가 안보 이익에서 벗어난 돈키호테식 의사 결정이 될 것이 될 것입니다.]<br /><br />[로버트 켈러 / 美 前 전략 사령관 : 최고위급(대통령)의 핵 사용 결정은 고위급 인사들이 참가하는 협의 과정에서 나온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립니다.]<br /><br />북한에 대해 화염과 분노, 완전 파괴 등의 발언으로 전쟁 위험을 고조시키는 트럼프 대통령에 이른바 핵 버튼을 맡길 수 없다는 우려에서입니다.<br /><br />앞서 미 하원은 대통령의 핵무기 사용 권한을 제한하기 위한 법안을 추진해왔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111513154212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