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정부가 4대강 16개 보의 처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오늘부터 수문 개방을 확대했습니다.<br /><br />우선 7개 보부터 개방하며 모니터링에 들어갔는데요.<br /><br />이에 대해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어서 정부의 신중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박종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4대강 16개 보 가운데 확대 개방이 결정된 곳은 모두 8곳.<br /><br />지난 6월에 개방했던 6곳을 합쳐 14곳이 개방 대상입니다.<br /><br />이 가운데 금강 3개, 낙동강 2개, 영산강 2개 등 모두 7곳이 우선 개방했습니다.<br /><br />나머지 7곳은 생활용수, 농업용수 취수 사정과 녹조 상황을 고려해 개방 수위를 조절합니다.<br /><br />정부가 보를 개방한 것은 보의 유지 또는 철거를 결정하고, 만약 유지한다면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.<br /><br />기존 6곳으로는 자료가 부족하다 보니 모니터링 대상을 늘린 겁니다.<br /><br />[김은경 / 환경부 장관 : 보를 열 때 어떤 영향이 있는지, 우리가 어떻게 대응할지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보를 다 열어서 조사하는 것이 (맞는다고 생각합니다)]<br /><br />정부의 4대강 보 개방에 대해 환경 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다양합니다.<br /><br />환영하는 목소리도 있고,<br /><br />[최지현 / 광주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: 강이 강답게 살아나는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. 이런 과정에서 여러 제약이나 문제점드을 과감하게 문제를 바로잡고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계속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개방 수준이 부족하다는 주장도 있고,<br /><br />[정수근 /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: 하루만 개방했을 때는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. 그래서 중·상류까지 다 개방해야지 제대로 된 결과를 얻어서...]<br /><br />개방 자체를 반대하는 의견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장희안 / 경남 창녕군 길곡면 작목회장 : 지금도 가물어서 마늘밭에 물을 퍼야 하는 실정에 있는데도 자꾸 수위를 낮추려니 주민들은 걱정이 많이 됩니다.]<br /><br />따라서 지역 주민과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중한 개방을 진행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.<br /><br />정부는 늘어난 모니터링 대상 보에서 얻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내년 말쯤 4대강 16개 보의 처리 방안을 결정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YTN 박종혁[john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111319052915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