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이 두 번째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관계 정상화를 공식화한 것은 북핵 문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한국과 중국은 대북 제재와 압박에도 협력을 하고 있지만, 유인책도 함께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핵 문제 국면 전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한중관계 정상화를 공식화한 것은 북핵 문제에서도 양국 간 협의와 협력이 재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두 나라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사드 배치 문제로 정면 충돌하면서 북핵 문제 악화에 효과적인 공동 대응 방안을 추진하지 못하고, 사태를 방치하는 양상을 보여왔습니다.<br /><br />두 나라는 먼저 중국이 제시해온 쌍중단과 쌍궤병행, 즉 북한은 핵과 미사일 시험을 중단하고 한국과 미국은 연합 군사 훈련을 중단한 뒤 평화 체제와 북한 비핵화를 위한 협상을 병행하자는 제안을 진지하게 검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쌍중단 제안에 대해 우리 정부는 군사훈련의 경우 적법한 것으로 국제 규범 위반인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실험과 등가물이 아니라고 규정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북한에 대한 유인책을 제시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요소가 있는 만큼 양국이 협의할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 양국의 협의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북핵 문제와 관련한 기존의 정책을 유지하기로 합의한 이후라는 점에서 안정감을 갖고 진행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<br /><br />특히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면서 북한과 미국이 대화할 때가 됐다고 말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북핵 문제를 둘러싸고, 한국과 미국, 중국의 최고 지도자가 잇따라 정상회담을 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점검한 것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국면이 전환될 수 있다는 전망을 유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북한이 지난 9월 15일 이후 고강도 도발 중단 2개월을 넘기게 되는 오는 15일이 지나면서 국면 전환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11200093581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