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평창 동계올림픽을 90여 일 앞두고 모든 경기장과 시설이 사실상 완공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가장 큰 문제 가운데 하나가 개·폐회식장의 추위, 바로 방한 대책입니다.<br /><br />어제 열린 기념행사에서도 저체온증 환자가 속출했는데요.<br /><br />준비된 대책은 신통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지 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평창 올림픽을 90여 일 앞두고 모든 경기장이 사실상 완공됐습니다.<br /><br />그 가운데 올림픽 서막을 열게 될 개·폐회식장.<br /><br />올림픽 역사상 최초의 행사 전용 시설로, 오각형 개방 건축물 형태에 3만 5천여 석의 좌석을 갖추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림픽이 끝나면 철거될 시설인데, 내년 2월 9일 저녁 8시부터 개회식 공연과 행사가 펼쳐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문제는 추위.<br /><br />최근 열린 올림픽 G-100일 기념 콘서트 행사에서도 저체온증 환자가 속출했습니다.<br /><br />[구조대 관계자 : 의무실 같은 데서 보온 조치하고 그런 정도의 조치였고. 본인이 병원 이송 원치 않으셨어요. 다들. 학생들이 아니더라도 성인도 있으셨어요.]<br /><br />지붕 설치가 꾸준히 요구됐지만, 예산과 공사 기간 등을 이유로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최근 10년간 개·폐회식장 인근 대관령 일대의 2월 평균 기온은 영하 4.5도.<br /><br />올해 2월에도 최저 기온이 영하 17도 아래까지 내려갔습니다.<br /><br />바람이 강해 체감온도는 더 떨어지는데, 기습 한파까지 겹치면 관람객과 선수단은 입장부터 퇴장까지 적어도 4시간 이상 야외에서 떨어야 합니다.<br /><br />평창 조직위와 강원도는 바람을 막기 위해 방풍 막을 설치하고 무릎 담요와 핫팩을 제공하겠다는 계획.<br /><br />하지만 건설비와 철거비를 합쳐 천억 원 가까운 비용이 들어가는 이 건물에서 수만 명 관객과 선수단이 혹한을 견딜 수 있을지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YTN 지환[haji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110522512795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