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병민 / 경희대학교 객원교수, 이종훈 / 정치평론가, 허성무 / 경남대 초빙교수<br /><br />[앵커]<br />바른정당 김무성 의원을 비롯한 통합파 의원들이 오늘 탈당을 선언을 했습니다. 바른정당이 원내 교섭단체 지위를 상실하면서 국회는 3당 체제로 재편되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 세 분을 모셨습니다. 김병민 경희대학교 객원교수, 이종훈 정치평론가 그리고 허성무 경남대 초빙교수 나오셨습니다. 어서오세요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앵커]<br />결국에는 작별의 입맞춤이 되었습니다. 주제어 보시죠.<br /><br />결국 돌아왔습니다. 김병민 교수님, 9명이 돌아왔습니다. 원래 통합파가 더 많다고 들었는데 일단 9명이 온 건가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통합파는 9명에서 10명 정도로 분류가 됐고요. 관망파라고 해서 통합전당대회를 주장하고 있는 의원군들이 또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의원들이 현재로써는 지금 상태의 명분으로는 돌아갈 수가 없다고 관망하고 있지만 언젠가는 보수 대통합을 해야 된다는 데 명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2차 탈당이 어디까지 이어질지가 바른정당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보여지는 거고요.<br /><br />일단 9명의 탈당만으로도 적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게 첫 번째로는 바른정당의 원내교섭단체가 무너졌기 때문에 정당으로서의 기능을 상당히 상실하게 되고요.<br /><br />자유한국당이 이제 116석의 의석수를 확보하게 되면 더불어민주당의 의석 수와 별로 차이가 나지 않고 여기에 4석만 더하게 됐을 때는 국회선진화법에 따라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앞으로 자유한국당이 원내에서의 목소리는 훨씬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김무성 의원의 회군, 명분은 문재인 정부 폭주를 막기 위해서라고 말했습니다. 이 명분이 국민을 납득할 만한 명분이라고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동의하는 국민이 일부는 있겠지만 대다수 국민은 별로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. 원래 분당, 탈당, 합당을 할 때 거창한 명분들을 다 만듭니다.<br /><br />명분 없이 정치행위는 할 수 없기 때문에. 그러나 실제 명분은 포장지에 불과한 것이고 그 안에 있는 정치적 실용성 내지는 정치적 이해관계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죠, 사실은. 그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탈당도 하고 분당도 하고 있는데 지금 내세우는 포장지의 명분은 명분이 조금 약한 것은 사실입니다.<br /><br />왜냐하면 분당을 해서 나갈 때 명분을 생각하면 보수 혁신이었습니다. 그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10622493468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