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중 양국의 이번 합의로 그동안 끊겨 있던 군사 당국 간 대화 채널도 복원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북핵 문제 해결과 동북아 정세의 안정적 관리에 보탬이 될 거란 전망과 함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직후에 열린 한중 국방정책실무회의.<br /><br />이 회의에서 중국은 한중 우호를 강조하면서 UN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윤순구 / 국방부 국제정책관 : 양국 군 국방부 간 관계를 점검하고, 앞으로 더 증진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[관요페이 / 중국 국방부 외사판공실 주임 : 중한 양국 관계가 최상의 시기라는 말에 동의합니다.]<br /><br />한중 수교 3년 만인 1995년 첫 회의를 시작으로 해마다 두 나라를 오가며 번갈아 열렸지만, 양국 간 사드 갈등이 본격화된 뒤 맥이 끊긴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차관급 대화 채널인 한중 국방전략대화는 지난 2014년 이후 열리지 못하고 있고, 양국 군 최고사령관 사이의 회담도 2013년이 마지막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한중 간 합의로 양국 군사 당국의 대화 채널이 복원되면 북핵 대응은 물론 동북아 정세의 안정적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특히 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를 돌이키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정하고 현상을 유지하는 선에서 관계 개선에 나서도록 유도한 것은 나름의 성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이른바 3불 정책이 합의문에 명시되면서 앞으로 우리의 발목을 잡게 될 거란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중심의 MD 체계에 편입되지 않는다는 건 역대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이었지만, 사드 추가 배치나 한미일 3각 동맹이 없다고 미리 선을 그은 만큼 우리 외교 안보 전략의 활동 폭을 제약하게 될 거란 겁니다.<br /><br />[박병광 /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 : 앞으로 우리나라 안보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데, 추가 배치 안 하겠다고 수표를 끊어줄 필요가 뭐가 있어요?]<br /><br />또, 중국이 여전히 사드 반대 입장을 고수하는 상황에서 사드 갈등의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한 논의가 빠진 것도 향후 부담으로 작용할 거란 분석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03120562044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