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노인 인구 증가는 15살에서 64살 사이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직결됩니다.<br /><br />특히,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가 본격화하면 생산가능인구는 한 해 수십만 명씩 썰물처럼 빠져나가게 됩니다.<br /><br />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1955년에서 1963년 사이 태어난 1차 베이비붐 세대.<br /><br />7백만 명에 이르는 이들은 생산과 소비의 주체로 70·80년대 고도성장을 이끌면서 우리 경제의 엔진 역할을 톡톡히 했습니다.<br /><br />[심홍식 / 1956년생 : 취업 목적이 다 부모를 봉양하고 가족을 키우기 위한 목적이었기 때문에 사실 쉴새 없이 달려왔습니다.]<br /><br />그런데 1955년생이 만65세가 되는 2020년부터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 경제의 주역 자리를 내주고, 노인 인구로 차례차례 편입되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지난해 정점을 찍은 생산가능인구는 2020년부터 20만 명 넘게 감소하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이후 출산율 예측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지만, 감소 폭은 한해 30·40만 명에 이릅니다.<br /><br />더 큰 문제는 1차 베이비붐 세대보다 많은 1968년에서 1974년 사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퇴장입니다.<br /><br />이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출산율이 높아지지 않아 새롭게 들어오는 생산가능인구마저 적어진다면 2033년 이후 감소 폭은 한해 최대 50만 명까지 치솟습니다.<br /><br />[이근태 /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: 우리 사회는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당장 코앞에 닥쳤고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우리나라의 잠재적인 성장 능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됩니다.]<br /><br />평균 수명이 늘었고, 고령층의 경제 활동도 활발하기 때문에 노인 기준을 70살로 높여 생산가능인구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.<br /><br />그러나, 노후 소득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지 혜택만 줄어든다는 반발이 거세 논란만 계속될 뿐 결론은 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고한석[hsg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00805054028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