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금리 인상 전 부채 규모·증가 속도 줄여야 / YTN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가계부채 문제를 짚어보는 연속 기획보도,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시급한 해법과 정부가 내놓을 대책을 전망해봤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자산축소와 12월 금리 인상에 따라 시중 금리가 올라갈 것으로 보여 빚이 있는 가구들은 서둘러 부채 규모를 줄여야 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연휴가 끝난 뒤에 강도 높은 규제를 담은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인데 얼마나 효과를 낼지 관심입니다.<br /><br />강태욱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국 연준이 자산 축소로 돈줄을 죄고 12월 금리 인상을 유력시하면서 최근 관망세였던 시중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변동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코픽스 금리는 지난해 9월 바닥을 찍고 꾸준히 오른 뒤 최근 1.47% 안팎에서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반영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 2% 초반까지 내려갔다가 이미 4%까지 이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은 대출금리가 1%포인트 오르면 이자 부담이 9조 원가량 늘어난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미국과의 금리 역전 등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 통화 당국도 기준금리를 내년쯤에는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그럴 경우 빚 있는 가계들은 갚아야 할 돈은 늘고 쓸 수 있는 돈은 줄어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임 진 / 금융연구원 가계부채센터장 : 저소득층이 얼마나 가계부채를 쥐고 있는가, 그리고 저소득층이 파산 지경에 이르렀을 때 그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는 사회보장 제도가 얼마나 갖춰져 있는지에 대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때문에 서둘러 가계부채 규모를 줄여야 합니다.<br /><br />당장은 부동산과 가계부채 대책 등을 통해 부채가 느는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근본적으로는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늘려야 하는데 결국 경제 성장이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: 가계의 소득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자원부, 보건복지부, 고용노동부와 같이 관련된 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제대로된 종합적이고 범정부적인 가계부채 대책이 실시되고 집행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]<br /><br />또 금리 인상에 따른 '시한폭탄'의 뇌관이 될 80조 원을 넘어선 취약가구에 대한 대책도 시급합니다.<br /><br />채무 재조정과 원리금 상환 유예 등을 통해 이른바 '질 나쁜' 빚을 줄여 충격과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할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강태욱[taewook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00705432419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