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자 신용대출 등으로 옮겨 빚을 내는 이른바 '풍선효과'도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대출 조이기만으로 오히려 대출의 질까지 악화시킨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박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초강력 규제로 불리는 8·2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,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3조 천억 원,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LTV와 DTI 강화로 대출을 확 조인 효과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신용대출 증가 폭은 전달보다 3배나 뛰었습니다.<br /><br />사상 최대 증가 폭을 기록한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증가 폭은 주택담보대출을 앞질렀습니다.<br /><br />주택담보대출이 막히자 신용대출로라도 돈을 빌리려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겁니다.<br /><br />이뿐 아닙니다.<br /><br />시중은행보다 금리가 4배 이상 높은 저축은행 가계대출도 2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.<br /><br />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자 저축은행으로 옮겨간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가계가 반드시 돈을 빌려야만 하는 대출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상황에서 돈을 빌리기 어렵게만 만드는 것은 최근 심화하고 있는 가계부채 풍선효과를 더욱 심화시킨다든가…]<br /><br />금융당국은 저축은행도 '풍선효과'도 집중 단속 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용범 / 금융위 부위원장 (지난 19일 가계부채 간담회) : 특히 주택담보대출 규제 회피 목적으로 신용대출, 사업자 대출 등을 취급하는 경우가 있는지를 집중 점검할 예정입니다.]<br /><br />지난 2분기 은행의 가계대출 수요 지수는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조여도 근본적인 수요는 줄지 않았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돈을 빌리기 어렵게 만드는 대책만으론 오히려 대출의 질까지 악화시킬 뿐 가계부채 증가세를 떨어뜨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YTN 박영진[yj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00605433084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