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민족의 명절, 한가위 대목이지만 한우 사육 농민들은 반갑지가 않습니다.<br /><br />청탁금지법, 이른바 김영란법의 여파로 한우 소비와 선물 수요가 늘지 않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마을에서 내로라하는 한우들이 모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최고의 한우를 뽑는 '좋은 가축 선발대회'에 나온 소들입니다.<br /><br />한우의 경쟁력을 키우고 축산업의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청정 축산과 안전한 먹거리 생산을 위한 다짐의 자리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한우 사육 농민들의 축제의 장이지만, 농민들의 표정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수입 쇠고기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60%를 훌쩍 넘어섰고, 청탁금지법이 발효되면서 선물용 수요가 줄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신천만 / 한우 사육 농민(금산군 군북면) : 김영란법 때문에 선물용도 안 나가고 소를 키우는 사람도 엄청 어렵고 곤란합니다.]<br /><br />생산비 절감과 고급육 생산 등 한우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그동안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도창희 / 충남대 동물자원과학부 교수 : 한우 같은 경우는 육질 쪽에서 많이 관심을 가지고 그쪽으로 지금 개량을 해오고 있습니다. 그래서 실제 고기 맛이 다른 수입 쇠고기보다 훨씬 더 우수합니다.]<br /><br />한우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지만, 외부 요인으로 인해 한우 산업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정문영 / 전국축협협의회 의장 : 소비 쪽에서 상당히 둔화가 되면 소 값 하락으로 이어지고 작년에 전체적으로 (한우) 선물세트가 25% 하락이 된 상황인데 금년도 추석에도 상당히 긴장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]<br /><br />구제역과 AI, 최근 살충제 달걀 파동 등으로 위기감이 커진 축산업.<br /><br />철저한 사육과 관리, 과학적인 사료 개발 등을 통한 한우의 우수성 확보와 축산업 위기 돌파를 위해 한우 농가들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92500144819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