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3대 세습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은 정권과 최고 지도자를 향한 모욕적 호칭에 유난히 강하게 반발해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이를 알면서도 주도권 확보와 국내 정치 상황에 맞게 이용해왔고 북한은 그때마다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도발의 빌미로 삼아왔습니다.<br />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[조지 부시 / 당시 美 대통령 (2002년 연두교서) : (이라크, 이란, 북한) 이 세 나라와 그들의 테러리스트 동맹국들은 '악의 축(Axis of evil)'을 구축하고….]<br /><br />지난 2002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으로 지목하자 북한은 선전포고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외무성은 성명을 내고 역사상 미 대통령이 정책연설에서 이렇게 노골적인 침략 위협을 가한 적은 없었다며 타격 선택권은 미국에만 있는 게 아니라고 맞불을 놨습니다.<br /><br />부시 전 대통령은 집권 기간 내내 미국의 전략적인 입장을 관철하기 위한 수단으로 북한 최고 존엄을 적극적으로 이용했습니다.<br /><br />강하게 압박할 때는 김정일은 '폭군'이라며 자극했고, 북한도 부시 전 대통령을 불망나니, 도덕적 미숙아, 인간 추물이라며 맞받아치고 격한 신경전을 벌였지만, 유화 국면에선 미스터 김정일로 칭하며 달랬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정치인들의 발언을 도발의 빌미로 삼으며 정세에 유리하게 이용해온 건 북한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014년 존 케리 당시 국무장관이 북한은 악이라고 하자 곧바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스커드 B를 시작으로 300㎜ 대구경 신형 방사포를 시험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외무성 대변인은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케리의 발언을 '패배자의 넋두리'라며 조롱하며 도발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숨기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도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을 빌미로 강력한 수위의 도발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북한 최고지도자에 대한 모욕을 외무성 성명으로 반박해오던 것과 달리 김정은이 처음으로 전면에 나선 건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수준급에 오른 핵·미사일 기술에 대한 젊은 지도자의 자신감을 드러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지선[sun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92405011042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