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곽대경 /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, 박지훈/ 변호사 <br /><br />[앵커] <br />보통 좀도둑을 막거나 반려동물을 지키기 위해서 요즘 가정 내에서 IP카메라를 많이 사용하는데요. 이 IP카메라를 해킹해서 사생활을 훔쳐본 사람들이 무더기로 검거가 됐어요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습니다. IP카메라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 개인용 컴퓨터라든지 아니면 스마트폰으로 화면에 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. 이게 인터넷으로 연결돼 가지고 있는데요. 보통 집에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 잘 있는지 이런 걸 보는 거, 아이들이 잘 있는지 잘 보는 것과 또 매장 같은 데서 혹시 좀도둑이 있는지 없는지 이런 것들을 확인하는 그런 차원에서 이 IP카메라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게 사실 초기에 설정을 할 때 비밀번호가 있는데요. 이걸 많은 사람들이 바꾸지 않고 그냥 쓰는 경우가 많이 있거든요. 그러다 보니까 이걸 갖다가 해킹해서 들어오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이것은 공유기를 통해서 포토포워딩 그래서 공유기로 들어오는 이런 경우에는 비밀번호만 알면 바로 자기만 제어를 하면서 심지어는 카메라의 방향이라든지 이런 걸 바꿀 수도 있고 그리고 줌인, 줌아웃을 해서 보고싶은 장면을 더 당겨서 크게 볼 수 있는 이런 것인데 이걸 해킹을 한 사건인데 그게 벌써 카메라 1402개의 카메라를 이런 식으로 해킹을 했다, 그래서 문제가 된 사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보통 감식카메라라고 하면 CCTV를 생각하게 되는데요. 이 IP 카메라는 CCTV와 조금 다른 건죠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이건 어떻게 생각하면 조금 소형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CCTV 이렇게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컴퓨터에 연결해서 쓸 수 있는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습니다. 그래서 보통 주인들이 밖에 있을 경우에 야외에서 스마트폰으로 지금 집 안이나 가게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이런 것들을 자기가 화면을 다양하게 돌려 가면서 확인할 수 있는 그런 장치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여기에 좀 자기가 보안에 대한 관심이 있는 분들은 아까 말씀드린 대로 비밀번호도 일단 바꾸는데 특수문자를 넣어 가지고 비밀번호를 바꾼다든지 아니면 업체에서 보면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라고 문자 같은 게 옵니다. 그러면 그런 걸 충실하게 해 주면 좋은데 많은 분들이 그게 귀찮아서 이런 피해를 당한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IP카메라를 해킹해서 다른 사람을 훔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92009315218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