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 학부모가 자식을 위한다며 벌인 잇단 협박과 괴롭힘 때문에 존경받던 초등학교 교사가 큰 상처를 받고 교단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학교 측은 소극적 태도로 일관했는데요<br /><br />교권 침해 사례는 매해 수천 건씩 발생하지만 이처럼 정작 교사를 보호해야 하는 학교나 관련 법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김혜민(가명)씨는 1년 전까지만 해도 존경받는 초등학교 교사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금은 평생 헌신했던 교단을 떠나 몸과 마음의 상처를 씻어내고자 애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이소연(가명) · 김혜민(가명) / 교사 지인, 초등학교 교사 : 나이가 있었지만 아이들에게 늘 초심, 첫 부임의 선생님처럼 정성을 다했어요. 그리고 되게 노련하셨고.]<br /><br />그녀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꾼 일은 반 아이들의 사소한 다툼에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아이들의 다툼은 학부모 사이의 감정싸움으로 번졌고, 한 학부모의 요청에 학교폭력대책위원회까지 열렸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를 두고 상대방 학부모가 교사의 책임이라며 공격하기 시작한 겁니다.<br /><br />[이소연(가명) · 김혜민(가명) / 교사 지인, 초등학교 교사 : 교육청에 민원 넣겠다, 끝까지 가겠다, 언론사에 알리겠다고 그러면 그거 자체가 너무나 큰 공포에요. 교사한테. 교장실에 찾아가겠다, 이것도 무서운 일이거든요. 내가 문제 교사가 되니까.]<br /><br />학부모는 밤낮없이 협박 문자를 보냈고, 집까지 찾아와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은 교사는 병원 신세까지 져야 했습니다.<br /><br />견디다 못한 교사는 학교 측에 교원지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권보호위원회를 열어달라고 했지만 단칼에 거절당하고 말았습니다.<br /><br />[이소연(가명) · 김혜민(가명) / 교사 지인, 초등학교 교사 : 공모교장으로 나가야 한다든가, 특히 교육청에 장학관이나 뭐가 또 되어야겠다는 무언가가 있으면 교사에게 '선생님이 비세요. 선생님이 어떻게 되도록 사건을 최소화합시다.'(라고 하는 것이죠.)]<br /><br />계속된 요청에 위원회가 열리기는 했지만 이미 교사는 지칠 대로 지쳐버렸고, 교단을 떠나기로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교권침해 사건은 해마다 수천 건에 달할 정도로 끊임없이 벌어지지만 교원지위법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학교장이 교권 침해 사실을 알았을 때 치유와 교권 회복을 위한 조치를 해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92208342358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