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최창렬 / 용인대 교육대학원장, 김형준 / 명지대 교수<br /><br />[앵커] <br />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. 국회의원 거의 전원이 출석해서 찬성 160명으로 가결 처리했습니다. 정국 상황 두 분과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최창렬 용인대 교육대학원장, 김형준 명지대 교수 나와주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오늘 우여곡절 끝에 국회 임명동의안이 통과됐는데요.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, 서울 서초구 사무실을 나서면서 가결 소감을 밝혔는데요. 우선 듣고서 얘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[김명수 / 대법원장 후보자 : 저에 대한 기대가 많은 것도 느꼈지만 마찬가지로 큰 우려와 걱정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됐습니다. 그와같은 우려와 걱정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겠습니다.]<br /><br />[앵커] <br />가결 직후의 소감을 들어보셨는데요. 오늘 당초 가부가 박빙이 될 것이다, 이런 전망이 많았었는데요. 최 교수님은 100%라고 어제도 말씀하셨었죠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사석에서 얘기한 겁니다마는 기본적으로 저는 어쨌든 가결될 거라고 예측을 했었어요. 그 이유가 일단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와 협치가 부족했다, 소통이 부족했다라는 걸 인정했고 또 문재인 대통령이 야당 대표들에게 연락도 하고 말이죠. 그리고 전방위적으로 상당히 노력을 했어요. <br /><br />그런 점이 하나 명분으로 작용할 수가 있고 또 하나는 일단 김명수 후보자를 또 만약에 부결시킨다면 국민의당으로서는 부담스러웠을 겁니다, 아마.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기본적으로 반대당론을 채택하고 있는 상황이었고 자율투표로 맡긴 게 국민의당이기 때문에 김이수 후보자에 이어서 또 김명수 후보자까지 낙마시킨다는 부담감 그리고 또 하나는 뭐니뭐니해도 대단히 근거가 약했어요.<br /><br />반대 논거 자체가 대법원을 경험하지 않았다든지 지나치게 이념적으로 편향됐다고 하는 건데 그런 것들이 사실 논거가 희박했거든요. 그런 점에서 또 지역구 민심도 의식을 했었을 거고 그래서 나름 국민의당 의원들이 정무적 판단을 하지 않았겠는가. 그래야 오히려 캐스팅보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죠. <br /><br />이번에 또 부결시키면 그야말로 반대를 위한 반대당이라는 그런 인식을 주게 된다면 그야말로 그 순간부터는 캐스팅보트로서의 역할이 오히려 역설적으로 없어지는 거거든요. 그런 여러 가지 판단이 작용한 결과가 아닌가 이렇게 생각이 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92118150854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