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또 거론되는 BDA 제재 방식...현실화 될까? / YTN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과 금융기관을 제재하는 것이 바로 세컨더리 보이콧입니다.<br /><br />그동안 북한을 제재하는데 가장 강력했던 수단인 이른바 BDA 방식을 미국이 다시 만지작 거리고 있는데 현실화 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.<br /><br />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05년 9월, 미국 재무부는 마카오의 방코 델타아시아, BDA 은행을 '돈 세탁 우려 기관'으로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미국의 금융 제재를 두려워한 대다수 국가의 기업은 BDA는 물론 북한과 거래를 중단했습니다.<br /><br />그때 북한의 김계관 부상은 "피가 얼어붙는 느낌"이라고 했을 정도로 대북 제제로는 가장 큰 효과를 거뒀습니다.<br /><br />이 BDA 방식을 미국이 다시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헤더 노어트 / 美 국무부 대변인 : 국제사회는 김정은 정권의 돈줄을 죄기 위해 더 행동할 수 있습니다. 북한 주민의 돈이 아닌 우리 모두에게 위험한 (핵)무기 프로그램의 돈줄을 죄는 겁니다.]<br /><br />유엔의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'고무줄 제재'를 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미 의회가 공상은행 등 중국의 대형은행 12곳을 제재해야 한다고 미 행정부에 압력을 가하는 것도 이런 배경이 깔려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현실화 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.<br /><br />만일 현실화된다면 중국은 사실상 자국 기업과 금융기관을 겨냥한 세컨더리 보이콧의 서막으로 간주하고 대응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미 의회가 거론한 중국 12곳 은행가운데 한국 내 지점을 둔 은행들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역시 이들 은행과 거래를 중단해야 하는 등 사실상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 동참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뿐만 아니라 북한 역시 지난 2005년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놓았을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미국이 BDA 방식을 다시 검토할 경우 한 단계 발전된 금융 제재 방식을 동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없지 않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91422023267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