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쓰레기 단백질' 원리 규명...암 등 치료제 개발 기대 / YTN

2017-11-15 3 Dailymotion

[앵커]<br />암과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포 내 유해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신규 단백질이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한·미 공동 연구진이 단백질 분해의 새로운 활성 원인을 밝히고, 암과 뇌 신경계 질환, 심혈관 질환 등 각종 질병 치료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세포가 노화하거나 유전적 변이, 스트레스 등을 받게 되면 변성 단백질, 이른바 단백질 쓰레기로 변합니다.<br /><br />이 쓰레기 단백질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뇌 질환이나 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됩니다.<br /><br />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보연 박사팀과 서울대 권용태 교수팀, 피츠버그 공립대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이 쓰레기 단백질 분해의 새로운 활성 원인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차현주 /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암물질연구단 : 쓰레기 단백질을 전달해주는 전달자로만 알려져 있던 p62라는 단백질이 단백질 독성, 스트레스 시에 자가포식체 생성을 증진 시키는 새로운 역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.]<br /><br />쓰레기 단백질 분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과 건강한 세포의 신체 내 조절 원리를 새롭게 규명한 겁니다.<br /><br />쓰레기 단백질 분해 시스템으로 알려진 '프로테아좀'의 경로가 막히거나 단백질 응고체가 축적될 경우 p62 단백질을 통해 '자가 포식' 경로가 활성화돼 쓰레기 단백질 분해가 이뤄지는 사실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쓰레기의 분해 과정을 새롭게 밝힌 이번 연구 결과는 암과 면역계 질환 등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p62와 이와 관련된 단백질을 조절하면 세포 내 축적되는 쓰레기 단백질 처리를 더욱 활성화 시켜 질병 치료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보연 /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암물질연구단 : 쓰레기 단백질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세포 내에서 규명해서 이러한 대사성 질환, 암, 심혈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저희가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이번 연구는 생물학 분야 세계적 저널 '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'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91502132772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