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도발·제재 반복...안보 불안 일상화 조짐 / YTN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북한이 또 다시 UN 대북제재를 비웃듯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한반도 안보 지수는 다시 한 번 악화하는 쪽으로 이동했습니다. <br /><br />한반도 안보 불안이 일상화하는 조짐이 나타나면서 우리 정부 대응 역량과 방식에도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의 거듭된 탄도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 안보 지형을 계속 악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북한의 도발과 우리 군의 맞대응 사격이 계속되면서 한반도 내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도 북한이 도발할 경우 재기 불능의 상태로 만들겠다는 말로 경고수위를 한층 끌어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, 남북 간, 북미 간 무력 시위가 반복하고, 말 폭탄 대결이 고조되면 오판이나 실수에 의한 우발적 군사 충돌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<br />[윤영관 / 전 외교부 장관 : 전쟁이라는 것이 상대방을 격파해야 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발생하기보다는 자주 이런 오해에 의해서 상황을 통제할 수 없이 되고, 그래서, 전쟁이 발발하는 경우가 다수 있기 때문에...]<br /><br />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는 특히 고도의 심리전 차원에서 전개된다는 점도 유의할 대목입니다. <br /><br />도발과 제재가 반복되면서 국제사회의 피로감을 유발하고, 도발과 제재를 일상적 현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전략입니다. <br /><br />이미 북한은 도발과 제재의 악순환 구도 속에서 핵무기와 미사일 역량을 획기적으로 고도화하는 수순을 밟아왔습니다. <br /><br />이에 따라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해 우리 정부는 우발적 군사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상황 관리, 그리고 안보 긴장감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<br />이미 북한의 도발 억제를 위해 압박과 회유 정책을 힘겹게 추진해온 우리 정부 입장에서도 획기적인 수준의 외교 역량 강화와 더불어 외교 전략의 전면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 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91517044973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