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반년 넘게 일자리를 찾았지만 구직에 실패한 이른바 장기 백수가 18만 명을 넘어 외환위기 이후 최대 수준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장기 백수가 늘어나는 건, 그만큼 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.<br /><br />차유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채용 상담받으려는 구직자들이 끝을 알 수 없을 정도로 길게 늘어서 있습니다.<br /><br />시중 은행 입사 경쟁률은 무려 100대 1로, 이들 가운데 대다수는 다시 다른 일자리를 찾아 나서야 합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취업난이 심각해지다 보니, 구직 활동을 6개월 이상 했는데도 취직하지 못한 이른바 '장기 백수'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에는 1년 전보다 2천 명 늘어난 18만4천 명으로, 외환위기 여파가 미쳤던 1999년 10월 이후 가장 많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실업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18.2%로, 5명 가운데 1명꼴입니다.<br /><br />장기 백수가 늘어나는 건,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.<br />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: 경기 침체 장기와 가장 큰 관련 있습니다. 경기 침체 장기화면 추가적인 일자리 발굴이 어려워서 고용이 안 된 상태로 계속 유지되는 경우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구직 활동을 하지 않아 실업자 통계에 잡히지는 않지만, 오랜 기간 입사 시험 준비와 '스펙' 쌓기에 몰두하는 취업 준비생까지 합치면 사실상의 '장기 백수'는 훨씬 더 늘어납니다.<br /><br />실제로 공무원 시험 준비생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올해 들어 취업 준비생은 70만 명 안팎을 기록하며 거의 매달 사상 최대치를 넘어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최대 국정 과제로 삼고 비정규직 처우 개선, 중소기업 근로자 지원 등의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, 일자리와 직결되는 내수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최대 걸림돌로 꼽힙니다.<br /><br />YTN 차유정[chayj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91618385211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