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사드보복 영향으로 중국 단체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면세점 업체들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업권을 반납하는가 하면, 신규 면세점의 개장을 늦춰 달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병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서울 시내 한 면세점입니다.<br /><br />1년 전 한국 화장품을 사려던 외국인들로 북적거렸던 이곳이 지금은 한산하기 그지없습니다.<br /><br />화려하게 개장한 지 1년 만에 이 면세점은 매출이 다시 하락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면세점 운영업체 관계자 : 개장 이후 다양한 마케팅으로 관광객 유치에 성공하며 순항했습니다. 하지만 최근 사드 문제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 조치로 면세점 업계가 걷잡을 수 없이 휘청거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3월 중국 정부가 방한 금지령을 내리면서 한국을 찾는 외국인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인이 아예 모습을 감췄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올해 1월과 2월까지만 하더라도 중국 관광객 규모가 1년 전 보다 늘었지만,<br /><br />방한 금지령이 내려진 지난 3월부터 갑자기 줄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해마다 큰 폭으로 늘었던 국내 면세 시장 규모도 올해는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결국, 눈덩이처럼 늘어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사업권을 스스로 반납하는 면세점이 생겨났습니다.<br /><br />또 임금 일부를 반납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, 새로 사업권을 얻은 면세점 3곳은 개장 시기를 늦춰달라고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사정이 이렇다 보니 아예 해외로 눈을 돌려 새로운 활로를 찾는 면세점 업체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창봉 / 중앙대 산업·창업경영대학원장 : (국내 면세점 업계는) 전 세계 매출의 17% 차지할 정도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를 활용해서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해야 합니다.]<br /><br />면세점 업체들의 피해가 날로 커지면서 정부가 임대료와 특허 수수료를 탄력적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병용[kimby1020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70805390717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