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우리나라에서 빚이 있는 가구는 지난해 대출 원리금 상환을 위해 평균 천5백여만 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빚이 있는 가구가 쓸 수 있는 돈의 3분의 1에 달하는 규모입니다.<br />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우리나라에서 빚이 있는 가구는 대출 원리금 상환을 위해 얼마를 사용하고 있을까?<br /><br />[박용성 / 인천시 효성동 : 집을 대출받아 구매해서 매월 이자를 내고 있는데요. 매월 제 수입의 30%를 이자를 내고 있다 보니까 가계에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국회예산정책처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해보니 지난해 빚이 있는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4천635만 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 가운데 대출 원리금 상환액은 평균 천548만 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쓸 수 있는 돈의 33.4%를 원리금 상환에 사용한 것으로 이 비율이 30%를 넘어선 것은 사상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은 26.6%였지만 실제 빚을 지고 있는 가구만 따로 떼어내 보니 이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.<br /><br />부채가 있는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3.9%에서 2011년 25.5%로 높아졌다가 2012년에는 22.3%로 낮아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2013년 24.5%로 다시 높아진 이후 매년 상승해 지난해에는 30%를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6년간 처분가능소득은 33.8% 증가한 반면 대출 원리금 상환액은 87.4% 급증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급증한 것은 가계부채 규모가 2009년 7백조 원대에서 지난해 천3백조 원대로 배 가까이 늘어난 데 따른 것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대책에 따라 부채상환 방식이 원금 분할상환방식으로 바뀌면서 상환부담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금리 상승이 더해지면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는 가계소비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내수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원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70617365184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