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반도에 서식하는 가장 큰 뱀, 구렁이는 과거 농촌에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그 수가 급격하게 줄며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데요.<br /><br />인공부화에 성공한 구렁이가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습니다.<br /><br />홍성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날렵한 머리에 까만 눈.<br /><br />몸통에 새겨진 독특한 무늬.<br /><br />최대 2m까지 성장하는 멸종위기 2급 구렁이입니다.<br /><br />구렁이는 병균을 옮기고 곡식을 축내는 쥐와 같은 설치류를 잡아먹어 예로부터 귀한 동물로 보호됐습니다.<br /><br />누런 황구렁이와 검은 먹구렁이로 나뉘는데, 색만 다를 뿐 같은 종입니다.<br /><br />60~70년대만 해도 농촌에서 쉽게 볼 수 있었지만, 잘못된 보신 문화와 환경 파괴로 수가 급격하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2011년부터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인공부화 작업을 벌인 끝에 32마리까지 개체 수를 늘리는 데 성공했고, 이 가운데 24마리를 자연에 돌려보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종원 / 치악산국립공원 야생생물 보호단 : 온도나 습도, 환경을 맞춰주거나 먹이를 얼마큼 먹거나 탈피를 얼마나 자주 하는가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 처음부터 하다시피 한 거죠.]<br /><br />닫힌 문이 열리자 미끄러지듯 산을 탑니다.<br /><br />인공부화에서 생육과 방사까지, 멸종위기 생물의 복원을 위한 노력이 열매를 맺었습니다.<br /><br />[이승록 / 국립공원관리공단 :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의미가 있고요. 그리고 자연상태에 있는 구렁이와 안정적인 개체군 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구렁이에 대한 전설이 곳곳에 남아 있는 강원도 치악산.<br /><br />자연의 품에 안긴 구렁이가 치악산 터줏대감으로 자리 잡는 일만 남았습니다.<br /><br />YTN 홍성욱[hsw050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61805025458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