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상진, 건국대 겸임교수 / 이현종, 문화일보 논설위원 / 배종호, 세한대 교수<br /><br />[앵커]<br />문재인 대통령이 지금 6.15 남북 공동선언 17주년 행사에 참석해서 조금 전에 축사를 했습니다. 서울 63빌딩에서 열리고 있는데요. 세 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. <br /><br />김상진 건국대 겸임교수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, 그리고 배종호 세한대 교수 자리 함께 하십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? <br /><br />[앵커] <br />조금 전에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사를 들어봤는데요. 굉장히 중요한 얘기들이 몇 가지 있었던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북한이 6.15 공동선언, 6.15 공동선언이 2000년도에 17년 전이죠.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합의했던, 다섯 개 항목에 합의한 내용인데요. <br /><br />노무현 전 대통령이 했던 10.4 선언 존중과 이행을 촉구하고 있는데.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전제를 걸고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 이런 언급도 했는데 어떤 부분들을 눈여겨 보셨습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문재인 대통령의 연설을 들어보면 남북 정상회담을 한 지 그리고 6.15 공동선언을 한 지 약 17년이 지났는데 아직까지 6.15 공동선언이 유효한 사항이다 이렇게 생각이 듭니다. <br /><br />당시에 6.15 공동선언은 첫 번째 남북 통일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한다. 그리고 두 번째는 통일 방안을 남의 연합제안과 연방제안의 공통성을 인정한다. <br /><br />그리고 세 번째는 이산가족과 비전향 장기수 문제를 풀어나간다, 네 번째는 경제협력과 각 분야의 교류를 활성화한다. 그리고 다섯 번째는 이 사항을 실현하기 위해서 당국 간의 회담을 개최한다. <br /><br />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은 김정일 국방 위원장을 서울에 초대한다 이 정도로 합의를 했던 사항입니다.<br /><br />당시로서는 굉장히 혁신적인 내용이었죠. 그렇지만 지금의 김대중, 노무현 정권을 이어서 이명박, 박근혜 정권 시절을 지나면서 이미 개성공단까지 문을 닫는 남북 교류가 완전히 전면 중단되는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 여전히 6. 15 공동선언은 유효한 사항이다, 이렇게 생각이 듭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지금 전제를 달았습니다. 북한이 핵과 미사일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, 북한의 호응을 촉구한다, 이런 언급도 하지 않았습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61518330441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