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주환 / YTN 정치·안보 전문기자<br /><br />[앵커]<br />최근 강원도 인제에서 발견된 무인기에서 경북 성주 사드 배치 부지를 촬영한 사진이 발견됐습니다. 북한의 무인기 위협, 어디까지 왔는지 김주환 YTN 정치안보전문기자와 함께 얘기 나누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에 발견된 무인기가 일단 북한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무인기에서 사드 배치를 촬영한 그런 사진이 나왔다, 이건 어떤 의미로 해석을 해야 되는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일단 우리의 주요 군사기지를 북한이 나름대로 다 파악하려고 굉장히 노력하고 있다, 이런 파악이 되겠죠. 북한이 기본적으로 위성이 없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우리도 한미는 정보자산이 위성이라든가 해서 쉽게 말해서 북한 전역을 24시간 들여다보고 있지 않습니까? 여러 가지 군사장비를 이용해서.<br /><br />그런데 북한은 그런 것이 없으니까 나름대로 자기들도 우리의 어딘가를 보고 싶은데 활용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 무인기다. 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것이 그 안에 일제 니콘 카메라, 우리 보통 사진 좋아하시는 분들이 쓰는 디지털카메라 그것을 장착을 했어요, 2014년도에 마찬가지로.<br /><br />그런데 이게 용량이 굉장히 커졌다. 64기가바이트. 그러니까 노래로 말하면 다소 차이는 있겠습니다마는 한 2만 곡 정도 수록되는데 사진이 한 500여 장 찍혔는데 그중에 성주 부지가 한 10여 장 촬영한 것이 발견이 된 것이죠.<br /><br />오늘 오전에 합참이 발표할 때 기자들로 하여금 촬영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육안으로 보여줬습니다. 직접 봤는데 해상도가 어느 정도였냐면 우리가 이른바 구글어스보다는 좀 높고 그런데 윤곽은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윤곽은 확연히 알 수 있고 그런데 해상 확대하면 좀 뿌얘지는. 그래서 외교안보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든가 사드 배치 부지가 언론에 노출된 것을 아는 사람들은 이게 사드 배치 지역이구나라는 것을 그 사진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그 정도의 선명성을 보이고 있었죠.<br /><br />[앵커]<br />지금 무인기가 발견된 곳은 강원도 인제고요. 그런데 경북 성주의 사드 기지를 촬영을 했다. 그러면 이 거리가 꽤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상당한 거리를 비행했다고 볼 수 있는 것 아닌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렇죠. 지금 우리가 휴전선, 군사분계선 북쪽 지역에서 이걸 날려보냈다고 하면 직선 거리로 따지면 한 성주까지 270km, 그러니까 성주까지 270km를 날아갔다는 얘기죠.<br /><br />날아가서 촬영하고 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61316390578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