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매립장 중심이던 우리나라의 장례 풍습이 시대 변화에 따라 바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화장장이 80%에 이르고 국민 절반은 수목장을 선호한다는 설문 결과도 있는데요.<br /><br />우리보다 앞서 고령사회에 접어들고 1인 가구 숫자가 증가한 일본에서는 요즘 전통을 깬 장례문화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샛별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따뜻한 봄볕 아래 원예 작업이 한창입니다.<br /><br />탐스러운 꽃을 모아 정리하고, 물을 주기도 하는데요.<br /><br />원예 동호회 사람들일까요?<br /><br />[오다하라 카즈에 / 오사카 거주 : 50년이 지나면 벚나무가 이렇게 굵어질 텐데 그때 우리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?]<br /><br />[와카야 케이코 / 와카야마현 거주 : 흙으로 돌아가 있겠지. 잎 한 장, 한 장의 영양분이 될 거에요. 흙으로 변해서요.]<br /><br />사실 이들은 지금 함께 묻힐 장지를 돌보는 자원봉사 중입니다.<br /><br />사는 지역도, 성씨도 다른 데다 가족도 아닌 사람들이 함께 묻힌다니, 조금 이상하게 들리는데요.<br /><br />최근 일본에서 주목받는 합동 묘 형태의 수목장, 이른바 '벚꽃 장'을 꿈꾸는 사람들입니다.<br /><br />[이마이 미츠노리·이마이 야스미 / 오사카 주민 : 저는 죽으면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어서 이런 곳을 찾고 있었어요. 아이들한테도 폐 안 끼치고요.]<br /><br />[곤도 신도 / 주지 스님 : 요즘에는 핵가족이 늘어나서 무덤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잖아요? 여기에 들어가면 자기 대에서 끝나니까 편하고 자식들도 와서 보기도 좋고요.]<br /><br />일본은 한 자리에 대를 이어서 납골 되는 가족묘 형태가 일반적인데요.<br /><br />그러나 핵가족과 1인 가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더는 가족묘를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.<br /><br />이런 변화에 맞춰 지난 2005년, 한 단체에서 '벚꽃 장'이라는 새로운 장례문화가 등장하게 된 것이죠.<br /><br />[이노우에 하루요 / '엔딩 센터' 대표 : 우리 단체는 생전, 사후 지원은 물론이고 시시각각 변해가는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삶을 마감하는가를 같이 고민하는 장을 만들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벚꽃 장은 한국 수목장과는 달리 무덤에 들어가기까지 자신답게 생을 마감하고 자신다운 무덤에 들어가는 것까지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벚꽃 장은 도쿄에만 3천 가구가 신청했을 만큼 최근 떠오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단순히 묘지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관계 형성의 장이 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회원들은 정기적으로 자원봉사에 참여하거나 정보를 공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61002173430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