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최민기 / 경제부 기자<br /><br />[앵커]<br />전북 군산을 기점으로 재발한 조류인플루엔자, AI 확산 세가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청정지역인 제주에서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, AI가 고병원성으로 확진되면서 초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정부 당국과 농가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자세히 얘기, 경제부 최민기 기자와 함께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그간 AI가 좀 잠잠했던 것 같은데 다시 심각해졌습니다. 지금 상황은 어떤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최초 의심 신고를 한 제주의 한 토종닭 농가가 어제 H5N8 고병원성 AI로 확진됐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정부도 오늘 0시를 기해, AI 위기경보를 최고 수준인 '심각' 단계로 올리고 비상체제에 돌입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지난 1일, '경계'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'관심'으로 하향 조정한 지 불과 5일 만입니다.<br /><br />지금 양성 반응이 확인된 농가는 전북 군산과 제주, 부산과 양산, 파주와 울산 등 7개 시군의 농가 14곳입니다.<br /><br />이번 AI 확산의 기점으로 추정되는 건 전북 군산의 오골계 농가입니다.<br /><br />여기서 팔려나간 오골계가 AI를 일으킨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는데, 여기서 팔려나간 오골계만 3,600마리가 됩니다.<br /><br />경남 진주와 충남 서천, 전북 전주에도 판매가 이뤄졌는데 이곳은 음성 판정이 나온 상태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추가 발병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전북 익산의 한 농가에서도 추가로 양성 판정이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최초 문제가 된 농가와는 다른 군산의 한 농가가 전통시장에 판매한 닭이 익산으로 흘러간 것으로 당국은 추정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또 다른 확산 경로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런데 확산 시일이 상당히 짧은 거 같은데 어떻게 이렇게 빨리 급속도로 퍼진 겁니까.<br /><br />[기자]<br />최초로 제주에서 신고가 이뤄진 건 2일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 사흘이 흘렀는데 그간 다른 농가에서는 신고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 당국의 역학 조사를 통해 한꺼번에 드러나면서 확산 속도가 빠른 것처럼 보인 건데요.<br /><br />따라서 농가들이 신속하게 신고를 하지 않은 점이 이번 사태를 키운 것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간은 보통 겨울 철새들이 감염의 주요 경로로 인식돼왔는데, 사실 지금은 철새 이동철이 아니거든요.<br /><br />따라서 국내 가금류에서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다 감염되는 '순환 감염', 다시 말해 AI가 이제 우리나라에 토착화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60614031442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