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최진 /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, 허성우 /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<br /><br />[앵커] <br />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이 무산되면서 여야가 해법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. 내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,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[앵커] <br />조금 전에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가 기자회견을 통해서 야당의 협조를 요청했는데 먼저 회견 내용 정리해 주실까요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우원식 원내대표가 아마 당청 간의 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일단 당에서 첫 번째 이낙연 총리후보자의 인사 문제 매듭을 풀어줘야 되는데 이 부분이 결국은 공이 청와대에서 당으로 넘어왔기 때문에 이 부분을 풀어야 되는데 이것이 야당이 완곡하게 버티고 있지 않습니까?<br /><br />버티기보다는 어떻게 보면 역지사지하는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야당의 입장은 당연하다고 봅니다. 왜냐하면 이낙연 총리 내정자의 인사기준 가이드라인을 대통령이 정했고 또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사항입니다.<br /><br />이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임종석 비서실장이 일단 사과는 했습니다마는 이것으로 끝날 문제는 아니다. 왜냐하면 첫 인사 문제기 때문에 협치와 소통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협치의 첫 번째 조건은 뭡니까?<br /><br />칼자루 쥔 측에서 마음의 문을 열어줘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해서 첫 번째 인사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그래도 대통령이 직접 설명하든가 아니면 사과하든가 이 부분은 대통령이 직접 나설 수 없는 사안이 아니냐. 물론 새로운 정부의 첫 조각 인사의 문제이지만 그러나 이 부분은 결자해지 차원에서 문재인 대통령께서 직접 설명을 하시는 게 맞지 않겠나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제 과거 청와대 경험상 이런 상황을 몇 번 겪어봤는데요. 틀림없이 대통령 같은 분이 본인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청문회 참모진이 반대했을 겁니다.<br /><br />왜냐하면 이후에 청문회 과정들이 줄줄이 남아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만약에 이 상황에서 사과를 하게 되면 이후 문제가나올 때마다 사과해야 한다는 말이냐라면서 아마 반대했을 가능성이 높고요.<br /><br />그렇다면 지금 당장 필요한 것은 국회의 협조가 필요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52810014595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