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속도가 더 가팔라지는 등 좀처럼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게다가 가임 여성 인구나 결혼 건수까지 급격히 줄고 있어 출생아 수 감소는 더욱 가속화 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양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월 출생아 수는 3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.3%가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2월 기준으로 최저치입니다.<br /><br />더 심각한 것은 앞으로의 추세입니다.<br /><br />출생아 수를 결정하는 변수는 크게 출산율과 15세부터 49세까지의 가임 여성 인구, 그리고 결혼 건수 등 세가지입니다.<br /><br />가임기 여성 1명당 평균 출생아 수를 가리키는 합계출산율은 1.17명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출생아 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가임여성 인구도 가파르게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 출산 연령인 30에서 34세 여성 인구는 지난해 176만7000명으로 2011년 191만8000명에서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2013년 32만 건을 기록했던 연간 결혼 건수도 2014년 30만5000여 건으로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에는 28만1600건으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출산율 개선이 더딘 상황에서 가임 여성 인구와 결혼 건수까지 급격히 줄면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추세라면 지난해 40만6000명이었던 출생아 수가 올해 정부의 당초 예상치 38만7000명 보다 훨씬 낮은 36만명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심대한 악영향을 끼치는 만큼 출산율 제고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양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42901004326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