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드 비용 충격 발언에 대해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전화를 걸어온 것은 한미 동맹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, 트럼프 대통령 발언 자체에 대해서는 취소를 하지 않아서 앞으로 방위비 분담금 증액에 대한 압박감은 달라지지 않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맥매스터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먼저 김관진 안보실장에게 전화를 걸어 해명에 나선 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파문을 진화하기 위해서였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민의 여망을 염두에 둔 일반적 맥락이었다고 밝혀, 기존 합의 내용을 준수하고 추가로 사드 비용을 청구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겁니다.<br /><br />이로써 사드 비용 파문은 일단락될 전망이지만, 내년부터 시작하는 방위비 분담 협상은 험로를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사드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선거 기간에 거론했던 미군 주둔비용 분담과 맥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2016년 9월 27일 대선 후보 토론회) : 한국, 일본, 독일, 사우디아라비아를 방어하고 있습니다. 그런데 그들은 미국에 내야 할 돈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방위비 분담금 협상 과정에서 한미동맹에 대한 우리 국민의 불신감이 증폭할 경우 자체 핵무장 목소리가 커지는 등 동맹의 위기가 나타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한미 동맹의 특성에 따라 우리가 미국 무기를 주로 수입하는 상황 등 미국이 얻는 구체적인 경제적 이익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인식이 동맹 관리보다는 미국 우선주의에 입각해 있는 만큼 한미동맹의 특수성과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이 누리고 있는 영향력 관리에 대한 정교한 설명도 필요할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43018391677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