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평창 동계 올림픽이 이제 열 달 앞으로 다가왔는데요.<br /><br />가장 큰 문제는 대회를 치를 돈입니다.<br /><br />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 이후 후원금이 뚝 끊겼습니다.<br /><br />결국, 공기업과 금융기관의 지원이 유일한 대안인데, 안팎에서 비판이 거셉니다.<br /><br />지 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도로 철도 등을 제외한 순수한 평창 올림픽 운영 예산은 애초 2조 2천억 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금은 2조 8천억 원, 6천억 원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'올림픽 플라자' 같은 시설 조성비가 붙었고, 대회 종목도 86개에서 102개로 확대됐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지금까지 확보한 예산은 방송 중계권과 입장권 판매 수익 그리고 기업 후원금을 모두 합쳐도 2조 5천억 원,<br /><br />최소 3천억 원이 부족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8천6백억 원을 후원한 삼성 등 대기업이 있지만, 상황이 180도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총수가 구속되고 최순실 일가의 올림픽 개입 의혹이 불거진 후 후원이 끊겼습니다.<br /><br />올림픽 후원 중단 여파는 공기업이나 금융기관에 고스란히 몰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림픽 조직위는 부족한 예산 3천억 원 가운데 2천억 원 정도를 한전 등 공기업으로부터 후원받을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예산 부족분을 공기업 돈으로 메꾼다는 건데, 안팎에서 비판이 거셉니다.<br /><br />[후원 대상 공기업 관계자 : 이게 뭐 (후원금이 )1~2억 원이라도 그렇게 해야 하는데 수백억 원이 된다면 이것저것 여러 가지 따져보고 진행해야 할 상황인 것 같습니다. 저희는 (올림픽) 테스트이벤트 때 50억 원이 지원이 나갔거든요.]<br /><br />논란이 일자 조직위는 2020년 올림픽을 치르는 일본의 예를 들며 올림픽 후원금은 독점적 마케팅 권리를 부여받는 만큼 일방적인 기부와 다르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제 300일 정도 남은 평창 올림픽, 국민적 무관심과 공기업 후원만 바라보는 재정난 속에 매일매일 돈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지환[haji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41401435637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