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채문석, YTN 선임기자 / 강신업, 변호사<br /><br />[앵커] <br />지난달 31일 구속된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검찰 수사는 이틀에 한 번꼴로 이뤄지고 있습니다. 어제도 세 번째 옥중조사가 있었는데요.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검찰이 애초 못 박은 기한 내에 기소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. 강신업 변호사 그리고 채문석 YTN 선임기자 스튜디오에 나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 <br />어제 박 전 대통령 3차 조사가 있었습니다. 8시간 반 동안 이뤄졌는데 어떤 점이 중점적으로 조사가 됐을까요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기본적으로 기본 조사는 이뤄졌다고 봐야 됩니다. 그래서 박 전 대통령의 얘기를 듣는 조사는 상당 부분 이뤄졌다고 봐야 되고요. 이제는 검찰에서 공소장을 작성하기 위해서 법리 구성을 하게 되는데 이 법리에 맞는 사실관계의 확인 내지는 사실관계 간의 연결고리 찾기 그리고 빈틈 메우기 이런 조사를 했다고 봐야 되는데요.<br /><br />가장 주목되는 것이 뇌물죄거든요. 이 뇌물죄는 법리 구성을 제대로 촘촘하게 하지 않으면 좀 어렵다는 이런 의견도 있기 때문에 여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박 전 대통령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. 그러니까 주도적인 역할을 했어야 된다라고 하는 것이죠. 그래서 그것을 삼성 같은 경우는 이재용 부회장과의 만남에서 어떤 얘기가 오고 갔는지 롯데나 SK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의 기금 모금 과정이라든가 이런 것들. 그다음에는 기업에서 돈을 내게 된 것이 굉장히 이례적인 것이어야 되는데요.<br />이것이 이례적인 것이 아니고 일상적인 것이라고 한다면 뇌물이라고 하기 어려운 면이 있거든요.<br /><br />그래서 삼성 같은 데에서 말과 관련해서 정유라라든지 최순실에게 돈을 지급했는데 이것을 지급하게 된 이유라든가 동기라든가 이런 것들을 캐물어서 결국 뇌물죄를 법리 구성을 촘촘하게 해서 공소장을 작성하는 준비를 하고 있다,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방문조사가 이틀에 한 번꼴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어떻게 보면 검찰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렇게 볼 수도 있겠죠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검찰이 지난주부터 해서 이틀 간격으로 계속 조사를 하는 이유는 이런 게 있을 겁니다. 일단 구속영장은 청구됐고 구속이 돼 있는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조사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40910142905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