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박소정 / YTN 경제부 기자, 김태준 / 前 공주함 함장<br /><br />[앵커] <br />관련 얘기는 김태준 전 공주함 함장, 박소정 YTN 경제부 기자와 함께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오늘 오후 1시에 무사히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을 했습니다. 앞서 저희 취재기자도 잠깐 설명을 했습니다마는 이제 거치된 이후에 이 이후 과정을 다시 정리해 주시겠습니까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일단 반잠수 선박이 부두에 접근을 했습니다. 접근했기 때문에 다음부터는 뭐냐하면 세월호를 묶었던 와이어줄 여기에 묶기 위해서 용접하고 했던 것들을 다시 풀어야 되죠. <br /><br />그걸 푼 다음에 이제 모듈 트랜스포터를 지금 약 466개가 있는데 이걸 각각 집어넣어야 되는 겁니다. 그 작업이 상당히 오래 진행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. <br /><br />왜냐하면 정확하게 무게균형을 맞추고 그걸 집어넣어서 육상으로 부두로 넣어 빼는 거죠. 그런 작업들을 하는데 세월호가 덩치가 굉장히 크고 무게도 무겁고 그다음에 모듈 트랜스포터도 466개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전부 다 미세조정을 하거든요. <br /><br />그렇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오래 걸리면서 대단히 어려운 작업인데 여기서 잘못하면 세월호 선체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작업도 안전하게 그리고 시간은 걸리지만 정확하게 잘 해야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지금 저 화면을 보면 세월호가 부두에 길게 맞닿아있지 않습니까? 횡으로 맞닿아 있는데 이대로 옮기게 되는 건가요? 아니면 조정을 하게 되나요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지금 있는 대로 올리는 것이 아니고 다시 세월호를 그러니까 횡이 아니라 종으로, 그러니까 부두와 직각으로 놓게 됩니다. 반잠수선이 꼬리 쪽과 머리쪽이 있는데요. <br /><br />꼬리쪽이 이렇게 사이가 벌어져 있는 쪽이거든요. 꼬리쪽을 부두와 맞닿게 해서 그런 다음에 모듈 트랜스포터인 운송장치를 세월호 배 밑으로, 아래로 깔게 되고요. <br /><br />그다음에 세월호를 살짝 들어올려서 운송장치를 통해서 세월호를 육지 위로 끌어올리게 되는 겁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지금 철재부두에 거치를 한다, 이렇게 들었거든요. 철재부두, 이 용어도 좀 생소한데 어떤 현장인지, 현장이 어떻게 되는 건지 설명을 해볼까요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지금 세월호가 일단은 항구에 접안을 해 있는 상태, 맞닿아 있는 상태고요. 완전히 육상으로 올라오는 작업까지는 아직 조금 시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33116552595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