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지난해 미국 대선에 러시아가 개입하고 있다는 정황을 FBI가 보고를 했지만, 당시 오바마 정부가 이를 공론화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대선 승리를 자신했기 때문인 것 같은데, 선거가 끝난 뒤, 뒤늦게 진상 조사에 총력전을 벌이지만 결과를 되돌리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LA 김기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미 대선 열흘 전 힐러리 후보의 이메일 재수사를 발표했지만, 러시아의 대선 개입 정황은 왜 침묵했느냐는 비판을 받은 제임스 코미 미 FBI 국장.<br /><br />하지만 러시아의 대선 개입을 공론화하지 않은 건 코미 국장이 아니라 당시 오바마 정부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뉴스위크지는 지난해 6~7월쯤, 당시 국무장관과 법무장관, NSC 보좌관 등이 참석한 회의에서 코미 국장이 러시아 대선 개입 정황의 상세한 보고를 했지만 묻어두자는 반응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[제임스 코미 / 美 연방수사국장(FBI) : 나는 어떤 사안에 대해 신중히 생각하고, 바로 판단했다면, 그 결과로 어떤 것이 따라오든 신경 쓰지 않습니다.]<br /><br />당시 힐러리 후보의 지지율이 크게 앞서는 상황에서 굳이 대선 개입 발표로 논란의 소지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대선은 의외로 민주당의 패배로 끝났고, 뒤늦게 러시아의 대선 개입 의혹을 본격적으로 문제 삼고 나섰지만 이미 때가 늦은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미국 대선에 외국이 개입했다는 의혹에 민주당뿐 아니라 공화당도 나서 초당적인 조사를 다짐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폴 라이언 / 미국 하원의장(공화당) : 하원 위원회가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전면적이고, 초당적이며, 성역없는 조사를 하기를 원합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이미 새 정권이 시작된 상황에서 대선을 무효화 할 정도의 결정적 증거를 찾아내기는 어렵다는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의혹의 당사자인 푸틴 대통령은 자신 있다는 듯 '대선 개입 의혹'을 비웃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블라디미르 푸틴 / 러시아 대통령 : 옛날 대통령 후보였던 부시의 말이 생각나네요. 내 말 잘 들으세요! 노우(NO) 입니다!]<br /><br />결국 러시아의 선거 개입 정황을 알고도 쉬쉬한 민주당 정권이 대선 패배와 함께 국가 권위도 손상시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A에서 YTN 김기봉[kgb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33104424083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