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이철조 / 세월호 인양추진단장]<br />1.5m 부양하여 세월호 선체와 맞닿았으며 02시 10분 최종 선적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. <br /><br />그동안 브리핑에서 수차례 말씀드렸던 것처럼 세월호 선체를 수면 위 13m까지 인양하는 것에서부터 세월호 선체를 반잠수식 선반에 선적하는 공정은 고도의 안전성과 정확성이 요구되는 작업으로 반드시 조류 속도가 느린 소조기에 파고 1m 이내시에만 진행되어야 합니다. <br /><br />인양과정에서 잠금장치가 파손된 선미 램프 발견 등 돌발 변수 발생으로 작업이 크게 지연되는 등 힘든 과정을 겪었으나 밤샘작업을 통해 총력을 기울이고 신속한 작업을 위해 여러 개의 준비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목표했던 금번 소조기에 선적 작업까지 마치게 되었습니다. <br /><br />상세하게 말씀드리면 24일 11시 10분 수면이 최종 도달한 세월호 선체는 고박 등 준비작업을 거쳐 16시 55분에 세월호 남동쪽 약 3km 지점 반잠수식 선박이 대기하고 있는 곳으로 출발하였습니다. <br /><br />참고로 당초 14시에 반잠수식 선박으로 출발하려고 했으나 조류가 정반대 방향으로 흐르면서 선방향으로 바뀌기를 기다렸다가 이동하느라 출발 시간이 3시간가량 지연되었습니다. <br /><br />이동 중 선체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호 고박된 잭킹 바지선과 세월호를 예인선 다섯 척으로 천천히 이동하여 약 3시간 30분 만인 20시 30분경 반잠수식 선박에 도착하였습니다. <br /><br />이후 정위치를 위한 자세잡기 작업에 착수하여 24일 24시 계획한 곳에 정위치시켰으며 25일 새벽 05시 50분 반잠수식 선박을 약 1.5m 부양하여 세월호 선체와 반잠수식 선박이 맞닿게 되었습니다. <br /><br />잠수사가 세월호 선체와 반잠수식 선박 갑판이 맞닿은 것을 확인한 후 세월호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두 잭킹 바지선 와이어에 걸린 장력을 서서히 빼면서 선체 무게를 잭킹 바지선에서 조금씩 반잠수식 선박으로 이전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반잠수식 선박이 세월호 선체 무게를 온전히 받쳐주는 작업 즉 선적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선적은 4시 10분 완료되었습니다. <br /><br />좀 더 쉽게 비유하자면 인양하는 동안 손으로 비유할 수 있는 잭킹 바지선의 와이어가 세월호 선체를 들고 있었다면 지금은 등으로 비유할 수 있는 반잠수식 선박의 갑판에 올린 다음 들고 있던 손에서 힘을 천천히 빼면서 온전히 등으로 얻기 시작하였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. <br /><br />세월호의 해저면에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301_2017032510030083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