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이하린 / 경제부 기자, 장창두 /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<br /><br />[앵커]<br />차가운 진흙 바닥에 누워 있던 세월호가 약 3년 만에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냈죠. 아직도 수습되지 않은 탑승객 9명의 행방. 그리고 세상을 떠난 희생자 295명의 기억, 그리고 대한민국을 좌절에 빠뜨렸던 회환의 무게를 안고 온전히 인양되기를 한마음으로 기원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장창두 서울대해양공학과 명예교수 그리고 이하린 YTN 기자와 함께 관련 얘기 자세히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지금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부터 살펴볼 텐데요.<br /><br />이하린 기자, 지금 오늘 새벽 3시 45분에 모습을 드러냈는데요. 한 시간에 3m씩 들어올린다고 했는데 지금 현장에서는 작업이 조금 지연되는 상황인 것 같아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렇습니다. 현재 수면 위로 2.4m 정도 떠 있는 상태입니다. 다시 말해서 새벽 3시 45분에 처음 드러냈을 때 그 모습과 크게 차이가 없다고 볼 수가 있는데요. 당초 목표는 오전 11시 13m까지 들어올리는 거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이미 시간은 지났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시간이 지났고 좀 늦춰진 이유에 대해서 정부가 브리핑을 하기도 했는데요. 정부는 이제 조금 늦어져서 오늘 오후 늦게나 저녁 때쯤이면 13m까지 올릴 수 있을 것이다,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늦어진 이유는 세월호가 물 위로 올라오는 과정에서 선체의 자세가 조금 변동이 됐고 바지선 와이어와 세월호 선체의 접촉현상이 발생했다, 이렇게 말했는데 조금 어렵죠.<br /><br />간섭현상이라고 하는 것이 부상하면서 간격이 좁아졌다는 말입니다. 간격을 맞추기 위해서 시간이 조금 필요했다는 말이고요. 또 인양작업을 잠시 멈추고 좀 더 수평을 맞추고 안전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보박작업, 단단하게 묶는 작업이죠.<br /><br />이 작업을 하는 데도 시간이 걸렸습니다. 1차 고박 작업 후에 세월호 선체 자세를 다시 조정을 하고요. 또 잭킹 바지선과 선박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환풍구나 그 작업에 피해를 주는 그런 요소들을 제거하는 데 시간을 쏟고 있다고 설명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전문가 입장에서 보기에는 지금 이렇게 작업이 지연되는 이유가 어떤 거라고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처음에 선체를 들어올릴 때는 와이어가 수직으로 있기 때문에 끌어올릴 때 그대로 올라오기 때문에 바지선이 접근하지 않습니다. 그런데 수면 위로 이미 올라오면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32311493896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