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식물을 수집해 되살리는 '노아의 방주' 역할을 하는 곳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식물복원센터에서 기른 희귀식물 수백 종이 자연으로 돌아갈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덕유산 식물 복원센터에서 야생 식물 종자를 수집하는 작업이 한창입니다.<br /><br />소독 작업을 거쳐 배양에 들어간 멸종위기 식물들.<br /><br />지난해 지리산과 덕유산, 설악산 등에서 수집한 종자는 모두 26만4천 립에 이릅니다.<br /><br />드디어 흙과 만나는 시간.<br /><br />올해 파종, 즉 씨 뿌리기 작업을 한 희귀식물은 끈끈이주걱, 꽃창포, 매미꽃 등 117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한라송이풀과 자주땅귀개, 연잎꿩의다리 등 3종의 2급 멸종위기 야생식물과 바람꽃, 눈잣나무, 땃두릅나무 같은 기후변화 지표 식물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[황혜경 / 전북 무주군 : 씨앗을 뿌리면서 흙을 만지니까 기분이 굉장히 좋았고요. 그리고 이 식물들의 씨앗이 잘 자라서 고향으로 잘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생겼어요.]<br /><br />고향으로 돌아온 멸종위기종 1급 풍란,<br /><br />보기만 해도 아찔한 바다 위 절벽에서 햇빛을 싫어하고 바위틈을 좋아하는 습성에 맞춰 복원 작업이 이뤄집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정성껏 길러진 멸종위기종 2급인 칠보치마도 귀향에 성공했습니다.<br /><br />멸종위기종 석곡은 월출산의 바위틈과 소나무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풍란 2,400개체, 칠보치마 500개체가 자생지에 복원됐으며, 고광나무와 구절초 등 28종 9,300개체가 지리산 등 4곳에 심어져 멸종위기에서 벗어날 날을 고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31912082822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