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국 여성의 임금이 남성의 60% 수준에 그치다 보니 남성의 임금을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이어지는 근로 시간으로 환산했을 때 여성의 임금은 오후 3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런 남녀 임금 격차 해소를 촉구하며 여성 근로자들이 국내 최초로 오후 3시에 조기 퇴근하는 퍼포먼스가 곳곳에서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오후 3시에 조기 퇴근하고 서울 광화문 광장에 모인 시민들.<br /><br />한국에서 남녀 임금 격차가 100대 64로 벌어져 이를 노동시간인 8시간으로 환산하면 여성들이 오후 3시 4분부터 무급으로 일하는 셈이니 일찍 퇴근하자는 의미를 담았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조기 퇴근 시위는 프랑스와 아이슬란드 등 해외에서는 종종 있었지만, 국내에선 처음입니다.<br /><br />[정이수 / 전국여성노동조합 서울지부 부지부장 : 여성은 기여도가 낮다는 만들어진 이유로 승진에서 밀려나고 낮은 임금을 받고 불안정한 형태로 노동하게 된다. 고위직 여성 비율은 뒤로 갈수록 낮다.]<br /><br />유리 천장 즉 여성의 승진을 막는 장벽을 없애자는 구호가 적힌 투명 비닐 우산을 든 참가자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남성들도 빨간 가발을 쓰고 '동일 노동에 동일 임금을 적용하라'는 구호를 한마음으로 외쳤습니다.<br /><br />비슷한 시각, 인근 프레스센터에서도 남녀 임금 격차 시계가 오후 3시 4분에 머물러있음을 뜻하는 붉은 스카프가 펄럭입니다.<br /><br />참가자들은 앞으로 우리 사회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남녀 동수가 참여하는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세계 여성의 날은 지난 1908년 열악한 작업장에서 화재로 숨진 여성들을 기리며 미국 노동자들이 궐기한 것을 기념한 날로 1975년 UN이 3월 8일로 공식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30904232160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