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지난 50여 년간 우리나라는 대기업의 성장이 중소기업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이른바 낙수효과를 근거로 대기업 위주의 성장 정책을 펴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요즘 같은 장기 저성장 시기에는 낙수효과가 크게 반감돼 대기업 중심의 경제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양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요즘 우리나라를 비롯한 지구촌의 많은 국가가 안고 있는 심각한 고민은 일자리 창출과 부의 양극화 해소입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는 그간 대기업 위주의 수출 증대와 투자 확대를 통해 이 문제 해결을 도모해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저성장이 장기화하고 있는 요즘 같은 시기에는 대기업의 성장 효과가 중소기업으로 이어지는 낙수효과가 크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나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대자동차의 경우 현대차 매출이 1% 증가할 때 1차 협력사의 매출은 0.43% 증가했고 2차 협력사는 0.05%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 역시 매출액이 1% 늘었을 때 1차 협력사는 0.56%, 2차 협력사는 0.07% 증가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대기업 성장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도 현저히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2013년 기준 산업별 취업유발계수는 대기업이 5.5 중소기업이 9.7로 중소기업의 고용 기여도가 훨씬 높았습니다.<br /><br />해외 생산 비중도 대기업은 2009년 16.8%에서 2014년 22.1%로 급등한 데 반해 중소기업은 같은 기간 6.3%에서 7.0%로 소폭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연계성이 현저히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내수 시장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중소기업의 중요성이 더 커져 가고 있다는 방증입니다.<br /><br />대기업의 성장과 수출 증대가 양극화와 일자리 문제 해결의 대안이 될 수 없는 만큼 대기업 위주의 현 정책보다는 다수가 중심이 되는 경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들이 나옵니다.<br /><br />YTN 이양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30403140612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