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삼성그룹 컨트롤타워였던 미래전략실이 사라지면서, 삼성의 앞날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투명한 경영의 새로운 시작이라는 평가도 있지만, 난제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교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소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룹 2인자로 불리던 최지성 부회장과 장충기 사장을 비롯해 미래전략실 팀장 7명 모두 삼성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250여 명 임직원은 계열사마다 뿔뿔이 흩어졌고, 그룹 사내방송도, 기자실도 문을 닫았습니다.<br /><br />미래전략실이 사라진 삼성!<br /><br />무엇보다 계열사 독립경영을 강화하는 시도는 새로운 시험대입니다.<br /><br />당장 삼성전자와 삼성물산, 삼성생명의 역할이 커지고, 인사도 그룹에서 사장단 인사를 일괄 발표하던 형식에서 계열사별 수시 인사로 바뀔 것으로 예상합니다.<br /><br />각 계열사 이사회의 권한도 커져 CEO를 선임하고 경영방침이나 사업전략을 짜는 역할까지 맡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미래전략실 해체 발표 직후 삼성SDI 이사회가 새 대표이사를 선임한 것이나 삼성전자가 노트7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한 글로벌품질혁신실을 신설한 것 등이 이런 방향을 뒷받침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미국 업체 하만을 인수한 사례처럼 총수의 결단이 필요한 커다란 규모의 투자나 신사업 추진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최소 2년 정도는 시행착오 속에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이 부회장의 지배력이 더욱 강해졌다는 평가도 나옵니다.<br /><br />1심 재판에서 무혐의나 집행유예 판결을 받으면 바로 경영에 복귀해 새로운 이재용 체제를 구축할 것이란 시각입니다.<br /><br />현재로써는 삼성이 등 돌린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는 역부족이라는 비판도 여전합니다.<br /><br />[박주근 / CEO스코어 대표 : 미래전략실 해체는 정경유착의 단절과 투명 경영을 위한 삼성의 중요하고 과감한 결단이지만 주주와 국민의 무너진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앞으로 구체적이고 진정성 있는 삼성 개혁과 사회 공헌 등이 제대로 뒤따라야 미래전략실 해체가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YTN 박소정[soju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30405341219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