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AI 확산 세가 심상치가 않습니다.<br /><br />서해안 벨트를 따라 AI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,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경기도 고양에서도 의심 신고가 접수됐습니다.<br /><br />철새가 3월 중순쯤 본격적인 이동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, AI 잠복기를 고려한다면 이달 말이 재확산의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백종규 기자! <br /><br />AI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경기도 고양에서도 AI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렇습니다. 경기도에서는 36일 동안 추가 의심 신고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발병 사례가 없어 청정지역으로 분류됐던 고양시 토종닭 농장에서 AI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의심 신고가 접수된 곳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토종닭 사육 농가입니다.<br /><br />이 농장에서는 닭 3천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는데, 이 가운데 60여 마리가 폐사했다는 신고가 어제 접수됐습니다.<br /><br />간이 검사 결과 AI 양성 반응이 나왔고 H5형과 고병원성 여부와 AI 발병 역학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고양시 전역으로 AI가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발병농가 반경 500m 안에 있는 소규모 농가 2곳의 닭도 모두 매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양성 여부는 이르면 오늘, 고병원성 여부는 화요일쯤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방역 당국이 이번에도 AI의 원인을 철새 이동으로 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언제쯤 철새가 우리나라를 떠날 것으로 보이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방역 당국은 AI 재확산 원인을 역시 철새 이동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발생 농가에 대한 역학관계를 벌인 결과 인근에서 철새 이동이 확인됐다는 이유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아직 재확산 원인을 철새 이동으로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숨어 있던 AI 바이러스가 차량과 사람이 이동하면서 옮겨지는 농가 간 수평 감염이 일어났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만약 농가 간 감염으로 확인된다면 방역 망이 뚫려 인근 지역 전체가 AI에 오염됐다고 볼 수 있는데,<br /><br />이 경우 잠복기를 고려하면 AI 확산 가능성은 더 커지는 셈입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 주장대로 철새 이동이 원인이라면 3월 말이 AI 재확산의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주로 전북과 충남에 머무는 철새가 3월 중순경 이동을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철새가 이동을 준비할 때는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30411005025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