롯데가 성주 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하기로 하면서, 중국은 '협박'에 가까운 보복을 시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그리고, 그 수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먼저 중국 외교부는 롯데가 '부지 제공 안'에 승인한 어제, 곧바로 반응을 내놓았습니다. <br /><br />"한국과 미국이 향후 결과에 대해, 책임져야 한다"면서 고강도 보복을 예고했습니다. <br /><br />[겅솽 / 중국 외교부 대변인(어제) : 우리의 안전 이익을 지키는 데 필요한 조치를 할 것입니다. 이로 인한 모든 뒷감당은 한·미가 져야 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중국 관영 매체들은 정부보다 '반발 수위'를 더 높였습니다. <br /><br />신화통신은 "중국 관광객들에게 면세점 매출을 의존하는 롯데의 이번 결정은, 악몽이 될 것"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<br />또 다른 매체인 환구시보는 한국산 자동차와 휴대전화에 대해서도 보이콧 할 준비를 하자는 내용의 기사로<br />한국산 '불매운동'을 부추겼습니다. <br /><br />한국과 중국의 '단교 가능성'까지 언급한 매체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민일보의 소셜미디어 매체인 '협객도'는 사드를 배치하면 한중 관계가, 단교에 준하는 가능성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한국을 정치, 군사적 수단으로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<br />중국 정부와 언론이 강경하게 한국 때리기에 나서자, 중국 시민들은 한국 기업에 대한 반감이 점점 커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<br />네티즌들 또한 롯데를 보이콧 하자는 댓글을 달면서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[주유페이 / 중국 선양 시민 : 거기(롯데 매장)에 쇼핑하러 가지 않을 겁니다. 이 문제(사드)에 대한 중국 정부 입장에 동의합니다.]<br /><br />중국의 사드 관련 '보복 수위'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, 이번 부지제공 건에 대한 보복조치에 이목이 쏠립니다. <br /><br />먼저, 중국 내 롯데 계열사에 대한 전방위적인 세무조사와 소방 점검 재개, 소비자 불매 운동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특히 다음 달 15일 중국 '소비자의 날'에 롯데가 현지 언론으로부터 표적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[조용찬 / 미중경제연구소장(YTN 라디오) : 3월 15일의 경우엔 '세계소비자권리의 날'에 CCTV '3.15완후이'라는 기업고발 프로그램이 있는데요. 여기에서 롯데를 비롯한 한국 기업이 고발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. 이에 고발된 한국 기업의 경우 중국 시장에서 퇴출될 위험에 놓일 수 있어서 갖가지 보복 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22818013535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