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기업도 한 달에 한 번, 두세 시간 일찍 퇴근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.<br /><br />고속철도 표를 한 달 전에 예약하면 최대 반값에 파는 할인 혜택도 내놨지만, 정작, 소비 둔화의 근본 원인인 가계 소득을 늘리는 방안은 크게 부족합니다.<br /><br />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일본에서는 이번 금요일이 오후 3시에 퇴근하는 첫 '프리미엄 프라이데이'입니다.<br /><br />여가가 늘면 소비가 살아날 거라는 장밋빛 전망과 어차피 다른 날 추가 근무를 하게 돼 별 소용 없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엇갈립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도 내수 침체가 깊어지자, 한 달에 한 번 금요일에 일찍 퇴근하는 '가족과 함께하는 날'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예를 들어, 월요일에서 목요일까지 30분씩 더 일하고, 금요일에는 2시간 일찍 퇴근하는 방안입니다.<br /><br />공공기관은 물론 민간 기업까지 독려해 다음 달에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내놓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출퇴근 비용 절감, 국내 여행 활성화를 위해 고속철도 표를 미리 예약하면 할인 혜택을 주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25일 전에는 최대 50% 할인해주기로 했지만, 승객이 몰리는 시간과 구간에 따라 혜택은 달라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숙박 비용을 낮추기 위해, 호텔이나 콘도 사업자가 객실 요금을 내리면 재산세를 줄여 주는 방안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[이찬우 / 기획재정부 차관보 : 중산층이나 고소득층은 지출 여력이 있어서 소비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인책 제공을 통한 소비 심리 개선에 역점을 뒀습니다.]<br /><br />소비 둔화의 근본 원인은, 가계의 소득은 제자리인데 빚은 1,340조 원을 넘어 폭증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가계 소득 확충 방안으로 저소득층 지원을 늘리고, 체불 임금도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소비 주력인 중산층의 지갑을 닫게 하는 노후 불안과 사교육비 문제 등을 풀어낼 강력한 대책을 내놓기에는 정부의 의지와 추진력이 부족해 보입니다.<br />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정부가 적극적으로 주택시장 안정 방안을 밝힌다든가, 또는 교육제도를 개선해서 소득이 늘지 않더라도 교육비 지출이 획기적으로 줄어 가계가 소비를 늘릴 수 있게 해야 합니다.]<br /><br />음식점, 꽃가게 등 청탁금지법으로 매출이 준 소상공인에게는 저리에 운영 자금을 빌려주기로 했지만, 음식값 상향 조정 등의 법 개정은 사실상 다음 정부로 공을 넘겼습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22308321160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