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처음으로 가계 실질 소득이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가장 적게 버는 1분위 가계 소득이 사상 최대 폭으로 줄어, 양극화는 더욱 심해졌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. 고한석 기자!<br /><br />가계 부채가 1,340조 원을 넘어 폭증하고 있는데, 반대로 가계 소득은 줄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가계 실질 소득이 지난해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 조사 결과,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당 연평균 소득은 439만6천 원으로 1년 전보다 0.6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지난해 물가는 1% 올라서, 이를 고려하면 실질 소득은 오히려 0.4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가계 실질 소득이 감소한 건, 금융위기 여파가 미쳤던 지난 2009년 1.5% 줄어든 이후 처음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이건 전국 2인 이상 가구 소득 증감만 계산한 겁니다.<br /><br />상대적으로 빈곤한 540만, 1인 가구를 포함하면 가계 실질 소득은 더 큰 폭으로 줄었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소득 양극화는 더욱 심해졌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가계를 소득 수준별 5단계로 나누면, 가장 적게 버는 1분위 소득이 비교 가능한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사상 최대인 5.6%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2분위 소득은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해 0.8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 가장 많이 버는 5분위 소득은 2.1%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소득 양극화가 깊어졌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세금·보험료 등 고정 지출을 뺀 가계 가처분 소득 가운데 지출 비율은 71.1%로 역대 최저치로 낮아졌습니다.<br /><br />이는 가계가 주택 대출 원금 상환 부담, 노후 불안 등의 이유로 씀씀이를 줄였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기획재정부에서 YTN 고한석[hsg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22414003155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