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조류인플루엔자, AI가 서울까지 확산하는 등 여전히 산발적으로 발생하면서 가금류 농가 농민들은 물론 해당 지방자치단체도 요즘 속이 타들어 갑니다.<br /><br />가뜩이나 살림이 팍팍한 상황에서 지자체들이 매몰 처분 보상금 등 AI 처리에 쏟아부어야 하는 혈세만 수천억 원에 달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권오진 기자가 보도합니다<br /><br />[기자]<br />사상 최악의 AI로 지금까지 닭과 오리 3,300만 마리를 묻었지만 종식까지는 갈 길이 먼 상황.<br /><br />이런 실정이지만 매몰처분 보상금 지급과 확산 차단을 위한 매몰과 방역, 매몰지 사후관리 등은 계속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이는 물론 정부와 함께 지방자치단체들의 몫입니다.<br /><br />문제는 막대한 AI 처리 비용을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가 감당해야 한다는 것.<br /><br />규모가 큰 매몰 처분 보상금만 해도 전국적으로 817개 농가 2천6백억 원으로 추정되는데 이 가운데 520억 원을 부담해야 합니다.<br /><br />가장 많은 가금류를 땅에 묻은 경기지역에 들어갈 보상금 추정액은 990억 원에 달했는데, 시군별로는 290만 마리를 매몰한 안성시와 평택시가 각각 250억 원이며 포천시는 210억 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들 시가 도와 함께 부담할 보상금만 하더라도 각각 40억∼50억 원 정도 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매몰과 관리, 방역 비용에 가금류 농장에 주는 생계안정자금 등까지 합치면 해당 자치단체별 부담액은 100억 원을 훌쩍 넘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충북에서 AI가 처음 발생해 가금류 276만 8천여 마리를 매몰 처분하고 달걀 794만 여개를 폐기한 음성군 등 소규모 지자체는 더 열악합니다.<br /><br />음성군은 정부와 도의 부담금을 제외해도 AI 처리 비용에 최소 70억∼80억 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지방세 수입 817억 원의 10%에 육박하는 돈입니다.<br /><br />AI 뒷감당에 살림이 휘청거리는 것은 다른 지자체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겨울철 가금류 사육을 제한하는 대신 정부가 농가에 보상금을 지원하는 휴업보상제 도입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권오진[kjh051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20700123074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