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구제역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, 항체 형성률을 점검하는 정부 표본 조사도 엉망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표본 수 자체가 적을 뿐 아니라 객관성도 의심되지만, 정부는 조사 결과만 믿고 안이하게 대처했습니다.<br /><br />차유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정부가 발표한 소의 구제역 바이러스 항체 형성률은 97.5%.<br /><br />지난해 소 사육 농가 9천 곳에서 2만8천 마리를 골라 조사한 결과입니다.<br /><br />전체 농가의 9% 정도이고, 마릿수로는 1%에도 못 미칩니다.<br /><br />그나마 현장에서 검사를 더 했기 때문에 이 정도였고, 원래 방역 지침은 고작 0.3%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표본 수 자체가 너무 적어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또한, 표본 검사는 방역 요원들이 무작위로 선정된 농가를 일일이 방문해 직접 검사해야 하는데,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[류영수 / 건국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: 많은 방역 요원이 모든 농장 방문해서 혈액 채취하고 검사해야 실제 현장에서는 방역 요원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.]<br /><br />농림축산식품부는 지방자치단체가 보고한 항체 형성률 숫자만 취합했을 뿐 농가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농식품부 관계자도 "구제역이 발생한 전북 정읍 한우 농가의 항체 형성률이 5%라는 소식을 듣고 당혹스러웠다"며 표본 조사 문제점을 인정했습니다.<br /><br />AI는 초동대처에 실패해 사상 최대 피해를 낳았고, 구제역은 엉터리 표본 조사만 믿고 현장을 외면하다가 구멍이 뚫린 셈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완벽하지는 않아도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어서 2010년과 같은 구제역 창궐은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입니다.<br /><br />YTN 차유정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20719160977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