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자마자 미국 내에서 대북 선제타격론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데요,<br /><br />실제 선제 타격 시 최첨단 무기체계가 동원되겠지만, 행동으로 이어지기보다는 북한에 대한 강력한 경고와 압박수준에 머무를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.<br /><br />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 의회와 정부의 대북 선제타격론은 지난해 한미 연합훈련에도 적용됐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대남 핵·미사일 공격이 임박할 경우 우리 군은 타우루스 등 정밀유도무기 등을 사용하고, 선제타격에 실패했을 경우 패트리엇과 사드 등을 이용한 2차 요격에 나서는 방안입니다.<br /><br />미 정부의 대북 선제타격론은 우리가 아닌 미국을 겨냥한 북한의 위협이 극대화됐을 가능성을 상정한 겁니다.<br /><br />미국을 겨냥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발사가 임박했을 경우 미국의 최첨단 무기들이 대거 동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<br /><br />정밀 타격과 지하 관통 파괴 능력까지 갖춘 B61-12 전술핵 유도탄과 재래식 신속 글로벌 타격, CPGS로 불리는 극초음속 미사일 등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속 2만km가 넘는 극초음속 미사일은 전 세계 어디든 1시간 이내에 타격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[김대영 /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: 극초음속 미사일은 기존 ICBM 발사체를 이용해 발사할 수도 있고, 폭격기 같은 곳에 장착을 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 속도가 그만큼 빠르기 때문에 지구 어디든 신속하게 타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]<br /><br />여기에 더해 모든 전자기기를 무력화시키는 EMP탄과 극초단파인 마이크로웨이브 등을 이용한 첨단 무기도 선제타격 수단으로 거론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북한의 대남도발과 중국의 반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미국 내 선제타격론은 중국의 적극적 대북제재를 압박하고 강력한 대북 경고 차원이라는 분석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20222561568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