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윤희웅 /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<br /><br />[앵커]<br />유력한 대선주자였던 반기문 전 총장이 출마의 뜻을 접으면서 대선 정국도 요동치고 있습니다. 앞서 보신 것처럼 YTN이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문재인 전 대표가 1위를 유지하면서 별다른 영향이 없는 가운데 2위 그룹은 지지율이 요동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과 함께 결과를 좀 더 분석해 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[앵커]<br />먼저 전체 주자들의 구도를 보면 일단 유력한 2위 주자가 불출마하게 되면서 문재인 전 대표의 입장에서는 대세론을 좀더 확인한 그런 결과라고 봐야 하는 겁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1차적으로는 유력한 경쟁자가 없어졌기 때문에 1위를 달리고 있었던 대세론 구도를 형성하고 있었던 문재인 전 대표는 본인이 어쨌든 유력한 경쟁자가 없으니까 위상이 더욱 공고화되었다라고 하는 평가가 1차적으로는 가능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.<br /><br />다만 그렇지만 이것이 선거에서 구도라고 얘기하는 것인데요. 지금까지는 야권층에서는 또는 범야권층에는 이번에 정권교체 기류가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정권교체의 최적임자가 누구냐라고 하는 그 프레임이 가장 강하게 작동했던 것이거든요.<br /><br />그때는 문재인 전 대표가 최고 적임자다라는 인식이 형성되면서 문재인 전 대표에게 가장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던 것이죠.<br /><br />그런데 반 전 총장이 어떻게 보면 정권교체를 막으려고 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고 우리가 평가할 수 있을 텐데 그런데 그것이 사라지게 되면서 그러면 범야권층이나 중도층에게 정권교체가 수월해진 것 아니냐라고 하는 인식을 형성해 줄 수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렇게 되면 선거에 대한 프레임 그것이 강도가 느슨해지면서 보다 후보 선택 기준이 다양화, 다변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거든요.<br /><br />그렇게 되면 정권교체의 최적임자는 누구냐라고 하는 선택기준이 정말 통치를 잘할 수 있는 사람, 정말 역량이 있는 사람, 이런 사람들로 선택기준들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걸로 봤을 때 지금 당장은 문 전 대표에게 타격을 주는 것은 아니겠지만 일정 부분 구도의 변화 가능성은 이전보다는 높아졌다 이렇게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문재인 전 대표가 모든 가상대결에서 1위 독주를 유지했습니다. 그런데 이 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20218063284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