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해안 침식 실태와 대책을 짚어보는 연속보도, 두 번째 순서입니다.<br /><br />해안침식은 자연현상으로 생각하기 쉽지만, 동해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해안침식은 자연현상이 아닌 인간이 만든 재해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난개발과 지구온난화가 해안침식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송세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여름철 동해안 모래는 평소 파도를 따라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합니다.<br /><br />겨울에는 반대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해안에 방파제 같은 인공구조물이 들어서면 이런 모래의 흐름이 깨져 침식이 발생합니다.<br /><br />해안도로 역시 침식의 주범입니다.<br /><br />해안도로 건설로 백사장이 좁아지면 파도의 충격을 흡수해주는 완충지대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김인호 / 강원대학교 교수 : 해안도로 축대벽에 큰 파랑이 왔을 때 반사돼 반사파가 강하게 흐르게 됩니다. 이로 인해 침식이 가중됩니다.]<br /><br />건설용 자재로 쓰기 위해 무분별하게 모래를 퍼내면서 모래양이 줄어드는 것도 해안침식의 원인으로 지목됩니다.<br /><br />실제로 국내 건설용 자재로 쓰이는 모래의 40%가량은 바다와 하천에서 채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규한 /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 : 골재나 토사를 채취하면 백사장으로 갈 공급원을 차단하고 공급원이 줄어드니까 결국 모래 침식이 일어나게 됩니다.]<br /><br />지구온난화도 해안 침식의 한 원인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 그만큼 완충 지대인 백사장 면적이 줄어들어 해안침식이 심해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해안침식이 가장 심한 동해안 해수면은 1년에 3.35mm씩 상승해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전 세계 평균보다 1.7배나 빠릅니다.<br /><br />YTN 송세혁[shso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20205180950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