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국내에서 멸종됐던 황새 복원에 성공해 황새 연구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박시룡 한국교원대 교수가 마지막 강연을 끝으로 정들었던 교단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20년간 황새 복원에 매달려온 박 교수는 황새가 다시 멸종의 길로 들어오지 않도록 사람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마지막 말을 대신했습니다.<br /><br />이성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20년간 멸종 위기 황새 복원에 매달려온 한국교원대 박시룡 교수.<br /><br />박 교수가 황새를 부탁해라는 주제로 한 마지막 강연을 끝으로 정든 교단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강연에서 박 교수는 미호천에서 사라졌던 황새를 복귀하기 위해서는 농약에서 자유로운 생태계 복원이 필수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박 교수가 황새 복원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때는 지난 1995년.<br /><br />그 이듬해인 1996년 황새복원센터를 교내에 설립해 20년간 황새복원에 매달려왔습니다.<br /><br />[박시룡 / 前 한국교원대 생물교육과 교수 : 우리나라 역사적으로 멸종 된 황새를 가지고 들어왔다는 것이 저로서는 기쁨이자 나라 융성의 시발점이 아닌가….]<br /><br />황새 인공 번식에 몰두한 박 교수는 1999년 4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본에서 기증받은 황새 알을 부화해 2마리의 건강한 새끼를 얻었습니다.<br /><br />2002년 4월에는 중국과 독일, 일본에 이어 세계 4번째로 인공 번식에도 성공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인공 부화를 통한 황새가 꾸준히 늘어 140여 마리가 부화했습니다.<br /><br />[박시룡 / 前 한국교원대 생물교육과 교수 : 1996년 7월 17일에 황새를 들여왔는데 그 날짜를 기념해서 100년 후 2096년 7월 17일 타임캡슐을 개봉하는 날짜입니다.]<br /><br />박 교수는 황새 복원에 그치지 않고 황새 야생 방사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2015년 6월 충남 예산군 광시면에 사육관리동과 사육시설 등을 갖춘 황새 공원이 조성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5월에는 멸종됐던 황새의 자연 번식을 45년 만에 이뤄내며 국내 황새 복원사의 획을 다시 그었습니다.<br /><br />[박시룡 / 前 한국교원대 생물교육과 교수 : 황새가 지금 야생 방사가 시작됐어요.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시민과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겠습니다.]<br /><br />20년의 세월 동안 황새 복원에 열정을 바친 박시룡 교수.<br /><br />박 교수는 교단을 떠나더라도 황새가 국내에서 온전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성우[gentle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12603280967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