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주환 / 정치·안보 전문기자<br /><br />[앵커] <br />북한의 잇따른 도발 위협, 김주환 YTN정치안보 전문기자와 함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 <br />북한 김정은 신년사부터 시작해서 계속해서 ICBM 도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실제로 어느 정도 현실화 가능성이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 <br />일단 본인들 표현에 따르면 임의 시각에 임의의 장소에서 쏠 수 있다. 그러니까 언제든지 준비가 되어 있다. 최근에 북한이 평양 북부 지역에 신형 미사일로 추정되는 2기를 의도적으로 노출시켰습니다.<br /><br />최근에 관련 영상들을 잇따라 내보내는 것도 자신들의 기술력을 과시한다, 이렇게 해야 봐야 되는데 그러면 중요한 것이 언제냐가 굉장히 중요하겠죠. 그 단초가 올해 북한 김정은 신년사 일부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그 내용 잠깐 소개를 하면 전쟁 연습 소동을 걷어치우지 않는 한 핵무력과 선제공격 능력을 강화해나갈 것이다. 가정법으로 썼어요. 그런데 여기서 북한이 말하는 전쟁 연습 소동은 해마다 우리가 3월에 하는 한미 군사연습 키리졸브 훈련을 말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이게 사실 키리졸브 훈련은 과거부터 북한이 굉장히 두려워하는 훈련입니다. 우리는 방어적 개념으로 하는 것이 분명히 함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이 훈련기간에 북한이 올스톱된다, 경쟁활동이. 이 부분에 대해서 굉장히 두려워 하는 것이 사실이거든요. 결국에는 이 말이 뭐냐하면 자기들의 핵무장 능력을 포기하지 않겠다, 이렇게 받아들여야 되는 거죠. <br /><br />[앵커] <br />그러면 3월 한미 군사훈련을 중단하지 않으면쏘겠다는 건가요. 그 시기를 언제로 볼 수 있나요? <br /><br />[기자] <br />해마다 3월인데 과거 남북관계가 좋았을 때 우리가 두 차례 중단한 적이 있었습니다. 그런데 그것이 북한이 핵을 포기한 것이 아니고 실제 그 기간에 나중에 밝혀진 사실이지만 오히려 군사력을 더 강화하는 그런 모양새를 취했습니다.<br /><br />그 대표적인 것이 1998년도 우리가 대북 송금 때문에 국내에서 시끄러웠는데 그 당시에 북한이 이미 파키스탄과 핵 밀거래를 했고 이런 식으로 해서 핵무장능력을 굉장히 미사일 발사 능력을 강화시켰고 그것이 2000년대 초기 들어와서 북한의 핵 위협이 극도로 높아지는 이런 과정을 겪었기 때문에 북한이 설령 전제조건으로 한다고 해도 북한이 이건 어디까지나 대남 위장전술이다라고 봐야겠죠. <br /><br />그러니까 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12813593171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